목차
1. 개념 및 의의
가) 승진(昇進)
1) 승진임용기준
2) 교육공무원의 승진구조
2. 대책
1) 단기대책
2) 장기대책
가) 승진(昇進)
1) 승진임용기준
2) 교육공무원의 승진구조
2. 대책
1) 단기대책
2) 장기대책
본문내용
우를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방안으로 '경력'계열의 이원화 방안을 들 수가 있다. 곧 평교사와 행정직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승진체계를 마련함으로써 교사가 구태여 교감·교장직으로 자리바꿈을 하지 않고 평교사로 남아 있어도 전문인으로서의 긍지와 보람을 가지고 교직생활을 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선임교사--> 수석교사 또는 부교사--> 정교사--> 선임교사--> 수석교사 등으로 하고, 이와 같은 자격계체로부터 교감·교장은 자격은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장학직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현재 장학사와 장학관의 2단계로 되어 있는 것을 더 세분하여, 예컨대, 장학사--> 부장학관--> 장학관--> 장학감 등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2급 정교사--> 1급 정교사--> 선임교사--> 수석교사 또는 부교사--> 정교사--> 선임교사--> 수석교사 등으로 하고, 이와 같은 자격계체로부터 교감·교장은 자격은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장학직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현재 장학사와 장학관의 2단계로 되어 있는 것을 더 세분하여, 예컨대, 장학사--> 부장학관--> 장학관--> 장학감 등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