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조의 사상, 현량과, 소격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광조의 사상, 현량과, 소격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Ⅱ. 조광조의 개혁은 성공했는가? 실패했는가?
1. 조선중기의 사회적 배경

2. 조광조의 정치사상

3. 조광조의 개혁정치
1) 향약(鄕約) 실시

본문내용

고 말았다.
4. 조광조가 펼친 개혁사상의 역사적 의의
조광조 등 신진사류들의 도학정치사상을 바탕으로 한 급진적 개혁 정책은 연산군 이후의 혼란을 극복하고, 요순시대(堯舜時代)와 같은 이상정치를 실현함으로써 국가의 새로운 질서를 수립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실행방법이 그 시대에 주를 이루고 있던 훈구세력들의 정치적·경제적인 지위를 와해시키려는 일환으로 행해졌기 때문에 훈구세력의 심한 반발을 초래했다. 결국 정국공신 위훈삭제라는 사건을 계기로 훈구세력과 대립함으로써 그들이 행하려했던 개혁 정책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성리학을 바탕으로 왕도정치를 행하려던 그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지만, 후세에 그의 도학정신이 계승되어 이황(李滉)·이이(李珥) 등의 유학자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사림에게는 정신적인 표상이 되었으며, 한국 유학의 기본적인 성격을 형성했다.
Ⅲ.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반정공신을 중심으로 조정을 운영해 오던 중종은 동왕 10년을 전후하여 왕권강화를 위한 새로운 시책을 구상하였다. 이러한 중종의 노력은 신진세력들에게 정치적 진출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조광조를 중심으로 중앙정계에 진출한 신진세력들은 삼사를 중심으로 꾸준히 자신들의 정치적 기반을 확보해 나갔다. 이 당시에 기성 세력들은 서서히 귀족화·보수화의 경향을 띠고 있었으므로 조광조 등의 신진세력에 의한 개혁논의는 시선(時宣)을 얻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체계의 전반적인 변혁을 주장한 신진세력들의 주된 관심은 기성세력들의 정치적·경제적 기반을 와해시킴으로써 신진세력의 이익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정치체계의 재편성에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그들의 주장은 바로 향약의 실시·현량과의 실시, 위훈의 삭제라는 구체적인 정책으로 제시되었던 것이다.
조광조의 개혁정치는 그의 정치리상을 실현시키는 궁극적인 목표였다 해도 좋을 것이다. 그가 행한 개혁의 범주는 도덕성의 회복, 이단의 배격, 민생의 안정, 향촌의 교화와 같은 광범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개혁활동을 통하여 그는 조종법일지라도 시폐(時幣)가 있는 것은 개혁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이러한 그의 개혁관이 급진적이고 과격한 것이라고 평하고 있으나 오히려 그의 개혁자세는 신중성과 보수적인 성격도 지니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와 같이 정암의 정치사상은 16세기 조선왕조가 안고 있던 제반문제를 반영하고 있으며 정치변혁기의 정치관을 제시해 준 것이라 하겠다. 그는 현실의 정치풍토를 쇄신하기 위하여 왕도정치를 회복해야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개혁정치를 펴 나갔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정치사상은 16세기 도학사상가들에 의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고 계승·발전되어 나아갔다.
- 참 고 문 헌 -
조승호, 「정암 조광조의 개혁정치 연구」, 강원사학 제 6집
김광철, 「정암 조광조의 정치사상」, 부산사학 제 7집
이홍두, 「정암 조광조의 정치개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1983
김동일, 「조광조의 정치사상에 관한 일 고찰」, 대구대학교 대학원, 1986
동아세계대백과사전
國史대사전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1.30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