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문제중심학습의 전개
Barrows & Myers(1993)의 문제중심학습 모형
IMSA의 문제중심학습 모형
Delisle(1997)의 문제중심학습 과정
최욱(2001)의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학습 모형
▣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주요 요소 비교
Barrows & Myers(1993)의 문제중심학습 모형
IMSA의 문제중심학습 모형
Delisle(1997)의 문제중심학습 과정
최욱(2001)의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학습 모형
▣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주요 요소 비교
본문내용
다양한 시각을 보여주기 위한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주요 요소 비교
구분
Barrows & Myers(1993)의 문제중심학습 모형
IMSA의 문제중심학습 모형
Delisle(1997)의 문제중심학습 과정
최욱(2001)의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학습 모형
대상 상황
의과대학(교실상황)
유치워에서 12학년까지(K-12)
(교실상황)
초/중/고/대학교
(교실상황)
초등학교
(교실상황+인터넷활용)
목적
-의학지식 습득
-지식을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 용할 수 있는 능력함양
-스스로 의학지식을 연 마하고 향상시킬 수 있 는 능력
-교과내용 관련 지식 및 기술 습득
-성취와 동기증진
-사고력, 추론기술 향상
-협력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중요한 지식의 체계 를 학습
-지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확장, 개발 하는 능력
-의사소통기술능력
-설득력 있는 말하기 능력
-수집 자료 분석 능력
-의사 결정 능력
-인터넷을 통한 직접 적인 경험으로 지식 을 스스로 구성하고 시험, 수정하는 능력
-인터넷을 통해 풍부 한 학습자원의 활용 능력을 배양
과정
-수업시작
-새로운 문제 시작
-문제의 추후 단계
-결과물 제시 및 발표
-문제에 대한 결론 이 후의 단계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문제에 직면하기
-알고 있는 것/알아야할 것에 대해서 기록하기
-문제 정의하기
-정보 수집, 공유하기
-가능한 해결책 생성
-해결책의 적합성 평가
-수행 평가하기
-문제에 대해 총정리
-문제에 직면하기
-구조 설정하기
-문제를 확인하기
-문제를 재확인하기
-산출물 또는 수행 산 출하기
-수행과 문제 평가
<설계 및 개발>
-문제작성
-학습목표수립
효과적인 학습활동을 위한 구성주의적 교 수 학습 활동 설계
-가상수업 공간 개발
<실행 및 평가>
-도입
-학습자에게 문제제시
-학습자가 문제 파악, 정보수집 계획 수립
-학습자가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 수집 및 공유
-학습결과에 대한 전 체적인 발표
-총괄평가
특징
* 모듈(module0의 사용
:실제 환장의 증례를 서술형식으로 만든 것으로 학생들의 자유로운 학습과 탐구를 유도하여 자율적인 학습을 촉진하고 학습과정을 이끌어 주는 역할 수행
* 문제로그(problem
log)사용
:문제개발에 대한 저널 타입의 기록장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생각하는 것을 무엇이든지 자유롭게 기록하여 학생들의 사고를 구체적으로 이끌게 하는 역할 수행
* 학습자원으로 인터넷 활용
▣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주요 요소 비교
구분
Barrows & Myers(1993)의 문제중심학습 모형
IMSA의 문제중심학습 모형
Delisle(1997)의 문제중심학습 과정
최욱(2001)의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학습 모형
대상 상황
의과대학(교실상황)
유치워에서 12학년까지(K-12)
(교실상황)
초/중/고/대학교
(교실상황)
초등학교
(교실상황+인터넷활용)
목적
-의학지식 습득
-지식을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 용할 수 있는 능력함양
-스스로 의학지식을 연 마하고 향상시킬 수 있 는 능력
-교과내용 관련 지식 및 기술 습득
-성취와 동기증진
-사고력, 추론기술 향상
-협력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중요한 지식의 체계 를 학습
-지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확장, 개발 하는 능력
-의사소통기술능력
-설득력 있는 말하기 능력
-수집 자료 분석 능력
-의사 결정 능력
-인터넷을 통한 직접 적인 경험으로 지식 을 스스로 구성하고 시험, 수정하는 능력
-인터넷을 통해 풍부 한 학습자원의 활용 능력을 배양
과정
-수업시작
-새로운 문제 시작
-문제의 추후 단계
-결과물 제시 및 발표
-문제에 대한 결론 이 후의 단계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문제에 직면하기
-알고 있는 것/알아야할 것에 대해서 기록하기
-문제 정의하기
-정보 수집, 공유하기
-가능한 해결책 생성
-해결책의 적합성 평가
-수행 평가하기
-문제에 대해 총정리
-문제에 직면하기
-구조 설정하기
-문제를 확인하기
-문제를 재확인하기
-산출물 또는 수행 산 출하기
-수행과 문제 평가
<설계 및 개발>
-문제작성
-학습목표수립
효과적인 학습활동을 위한 구성주의적 교 수 학습 활동 설계
-가상수업 공간 개발
<실행 및 평가>
-도입
-학습자에게 문제제시
-학습자가 문제 파악, 정보수집 계획 수립
-학습자가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 수집 및 공유
-학습결과에 대한 전 체적인 발표
-총괄평가
특징
* 모듈(module0의 사용
:실제 환장의 증례를 서술형식으로 만든 것으로 학생들의 자유로운 학습과 탐구를 유도하여 자율적인 학습을 촉진하고 학습과정을 이끌어 주는 역할 수행
* 문제로그(problem
log)사용
:문제개발에 대한 저널 타입의 기록장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생각하는 것을 무엇이든지 자유롭게 기록하여 학생들의 사고를 구체적으로 이끌게 하는 역할 수행
* 학습자원으로 인터넷 활용
추천자료
사회과 교수학습 모형-문제해결학습모형
6학년수학) 8.비율그래프)띠그래프그리기-문제해결학습
3학년-수학-8.길이와시간)문제해결학습
체벌교육의문제점과교사와학습자의입장차이
6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사회102쪽-109쪽(1/14)차시) 문제해결학습> 3. 대한 민국...
6학년)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세안) (p.126~129 / (9/14)차시) 문제해결학습> 2. 대한민국 ...
5학년) <실과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47-51쪽 (5/6)차시) 협동적 문제해결학습> 3-(2) ...
5학년)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127-130 ( 1/6 )차시) 문제해결학습모형> 6. 깊이 있는 ...
3학년)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쓰기 210~215쪽 / (4/4)차시), 문제해결학습모형> 6. 좋...
<(수학)과 교수 · 학습 과정안 (문제해결학습모형)> 각기둥과 각뿔 - 각뿔에 대해 이해하기
초등2) <국어(듣말)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문제해결학습모형) (2/4)> 4.마음을 주고 받...
성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학생미혼모가 갈수록 늘고 있어 이들이 학습권문제가 사회적 이슈...
4학년 국어 지도안-제안하는 글의 짜임과 내용을 알 수 있다.(문제해결학습모형)(중안)
6학년 국어 지도안-문학의 향기-시를 이야기로 바꾸어 쓰는 방법 알기(문제해결학습모형)(중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