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특성과 중요성,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내용,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자기출석부르기,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활동방법과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특성과 중요성,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내용,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자기출석부르기,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활동방법과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특성

Ⅲ.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중요성

Ⅳ.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내용
1. 기본 학습 훈련 실시
2. 발표력 향상을 위한 지도
1) 발표하는 자세
2) 발표하는 요령
3) 경우에 따른 말의 보기
4) 듣는 요령
3. 자기 주도적 학습을 돕는 환경 조성

Ⅴ.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자기출석부르기
1. 이런 일이 있었다
2. 이렇게 해 보았다
3. 이런 효과를 보았다

Ⅵ.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활동방법
1.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 기르기
1) 노래하며 율동하기
2) 소리쳐 내 출석 내가 부르기
3) 기초 발음 훈련
2. 발표에 대한 자신감 기르기
1) 자신감 기르기 발표문 암송하기
2) 자신감 기르기 말놀이하기
3) 그림보고 창의적으로 이야기 꾸며 자유발표하기
4) 일상 생활장면 그림으로 그리고 이야기 꾸미기

Ⅶ.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판에 소리의 크기를 ○로 나타낸다.
3. 이런 효과를 보았다
◎ 발표를 전혀 하지 않았던 그 학생뿐만 아니라 전체 학생들의 발표 목소리가 커지고 분명해졌다.
◎ 자기 차례에 스스로 출석을 부르기 위해 다른 학생들이 출석을 부를 때 주의를 기울이는 노력들이 나타났다. 즉 주의 집중을 위해 사용할 수 있었다.
◎ 발표에 자신이 붙으므로 학교 생활에도 적극성이 붙었다.
Ⅵ. 발표력신장교육(발표력신장지도)의 활동방법
1.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 기르기
1) 노래하며 율동하기
아동들에게는 무엇보다도 학습에 즐겁게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기 위함이고, 또한 발표나 수업에 대한 긴장감을 풀어 주기 위해서이다. 율동 사이사이에 등장인물의 목소리를 모사하여 율동을 하도록 하였다
2) 소리쳐 내 출석 내가 부르기
아이들에게 모두 돌아가면서 뭔가를 발표하라고 하면 몇몇의 아동을 제외하고는 무슨 말을 어떻게 발표할지 몰라 하였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자신의 이름을 친구들 앞에서 말해 보라고 하면 자신의 이름을 말하지 못하는 아이는 아무도 없었다. 이에 아이들이 자신의 이름을 친구들 앞에서 큰 소리로 소리쳐 봄으로서 자신의 이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남 앞에서도 떳떳하게 설 수 있는 자신감을 길러주기 위해서이다.
3) 기초 발음 훈련
정확한 발성을 할 수 있도록 한글의 기본음을 먼저 발음한 다음, 발음하기 어려운 발음을 발성하였다.
2. 발표에 대한 자신감 기르기
1) 자신감 기르기 발표문 암송하기
자신감 기르기 발표문을 제작 암송하게 한 후 친구들 앞에서 큰 소리로 외침으로 인하여 발표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발표에 즐겁게 참여하게 하는 방법으로 일단 남 앞에서 뭔가를 하고 나면 성취감도 생겨서 기분도 좋아지고 뭐든지 잘할 수 있다는 의욕이 생겨 발표뿐만 아니라 다른 학습까지도 부수적으로 잘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법을 몸에 익히게 하기 위해서이다
2) 자신감 기르기 말놀이하기
말이나 낱말을 익힌다는 어떤 부담감 없이 여러 사람 앞에서 자신의 목소리로 말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주고 그러는 가운데 다른 친구들이 쓰는 말을 듣고 몰랐던 낱말을 익히고, 낱말을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일깨워 주기 위해서이다.
3) 그림보고 창의적으로 이야기 꾸며 자유발표하기
전래동화나 명작의 그림이 인쇄된 학습지를 주고 아이들이 상상력을 동원하여 이야기를 창의적으로 꾸미도록 유도하고, 꾸민 이야기를 자유발표 하도록 하였다.
4) 일상 생활장면 그림으로 그리고 이야기 꾸미기
1학년 아동들은 그림 그리기를 좋아한다. 이를 살려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그림으로 A4용지에 그린 다음 그 그림을 보면서 이야기를 꾸미도록 하였다. 다소 과장된 표현과 자세한 표현, 재미있는 표현을 넣어 자신의 이야기를 꾸미도록 하였다.
Ⅶ. 결론 및 시사점
사회의 변화된 모습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학습자의 학습 필요성도 마땅히 변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하고 수업 참여도를 한층 높여 신나면서도 살아있는 수업을 운영해야한다. 그리하여 시대를 이끌어갈 학생들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자기의 생활을 주체적으로 누릴 수 있는 생활을 준비하도록 교육활동의 주체인 학생을 중심으로 제대로 된 효율적인 수업 즉,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발표하는 활동 중심 수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단편적 디지털 사고 중심 수업이 아닌, 통합적 아날로그 사고 중심 수업이며, 닫힌 공간 수업이 아닌, 열린 공간 수업이며, 수동적 지식 전달 수업이 아닌, 능동적 문제 해결 수업으로 개개인의 언어생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인 작은 노력이며 창의적인 싹을 틔우는 소중한 작업의 시작이라 하겠다.
이 과정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발표하는 활동 중심의 수업을 통하여 나에게 주어진 아이들이 지식 이상의 지혜를 가질 것임을 기대하는 동시에 교실 밖에까지 퍼질 수 있는 지혜의 소유자가 되길 간절히 되되어 본다.
참고문헌
- 김경식·곽성기·박혜신 공저(2001), 교육 방법 공학, 교육과학사
- 김상원(1981), 교육방법론, 교육과학사
- 노명완(1997), 말하기·듣기 교육의 개념과 탐구 과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연구보고서
- 박창균(1999), 대화분석을 적용한 말하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태섭(1997),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연암사
- 최영환(1997), 기능과 전략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 방안, 국어교육 9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2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