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구성주의적 읽기
1. 구성주의적 읽기의 개념
2.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의 과제
Ⅲ. 텍스트 해석의 특성
1. 다층성
2. 다의성
3. 다기능성
4. 확장성
Ⅳ. 텍스트 해석의 범주
1. 장르․상황적 전형성
2. 관습적 명시성
3. 독자의 개별성
Ⅴ. 읽기 교육의 방향
1. 구성주의적 읽기 수업의 내용
2. 읽기 교육 내용의 체계
Ⅵ. 결론
참고문헌
Ⅱ. 구성주의적 읽기
1. 구성주의적 읽기의 개념
2.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의 과제
Ⅲ. 텍스트 해석의 특성
1. 다층성
2. 다의성
3. 다기능성
4. 확장성
Ⅳ. 텍스트 해석의 범주
1. 장르․상황적 전형성
2. 관습적 명시성
3. 독자의 개별성
Ⅴ. 읽기 교육의 방향
1. 구성주의적 읽기 수업의 내용
2. 읽기 교육 내용의 체계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이다
□ □ □
예시 ) “가정내 아동 사고의 비율이 추락 70%, 손가락 부상 20%, 화상 3% 등으로 나타났다.”---신문에서 (정보 : 새롭고 중요하다) 소아과 병원의 벽보(당부, 주장 : 이런 점을 조심하라)
8. 텍스트 해석의 범주
: 어디까지 해석할 것인가? 어디까지 해석해야 그 텍스트에서 의도된 것을 이해한 것이라 할 수 있나.
① 장르적 전형성
모든 텍스트는 본질적으로 다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의사 소통 상황에 따라 특정 기능이 전경화될 수 있다. - 적합한 상황이 구성(‘적합성 이론’)
예를 들면, ‘한국의 갯벌’ - 과학 저널, 생물 참고서 - 정보.확언
- 환경 평가서 - 정보 (주장)
- 환경 저널, 사회 참고서 - (정보) 주장
- 간척 사업 공청회 자료 - 주장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된다.
학습용 교재 --- 정보 수준
신문의 정치면 기사 - 정보 + 여론 형성 --- 주장까지
광고 --- (정보)---설득까지
문학 작품 --- 정보, 주장, 심미성까지
* 해석범주의 폭과 표현 범주의 폭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설명문, 논설문 등의 기존 텍스트 유형 : 표현 범주를 중심으로 한 설정.
해석 기대 범주를 중심으로 유형, 장르 등을 새로 분류할 수 있을 것.
* 장르의 위배 : 실제 표현된 범주가 장르에서 기대되는 범주와 위배될 경우
--- 의도적이건 아니건 간에 위배의 의도가 해석되어야 한다.(예, 신문-관습적으로 위배)
해석 기대 범주를 넘는 해석 : 해석이라기보다 활용이다. 예를들어, 과학잡지인데 갯벌을 새만금 사업을 중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끌어낼 때, 이것은 텍스트의 의미라기보다 이해한 바의 활용이다.
* 기능 및 의미 해석의 개연성: 이유, 근거, 결과, 해결, 영향 등 대체로 인과관계의(적어도 표면상 - 시화호는 구체화 관계) 원리에 근거하여 장르(텍스트를 둘러싼 상황)의 내용에 따라 결정됨. (예, 대전제-시화호 방류냐, 새만금 정책 감사냐, 서해 AB지구에 대한 평가 시기냐)
* 기능 및 의미 해석의 지속적 확장성, 간접성 (예, 새만금 - 정부 정책의 근시성)
* 개방성과 간접성에 모두 : 상황에 따른 전경화 가능, (예를 들어, 현 민주당 사태(김대중 대통령 총재직 사퇴) -- 모두 전경화 -- 3각 구도 기사보도)
② 관습적 명시성
명시성 정도의 차 : 장르의 언어, 내용적 측면(전체 전개 구조, 제목, 제시어, 상세한 내용 정도 등), 어투(태도표현적 요소들)
Halliday(1989)
Isenberg(1976)
P.I.C.V.S. 명제구조
의도구조 : 의사소통 양식 술어(단언-주장, 언약-약속, 위협, ---)
정보양식 술어(-제보, 확인)
서술 양식 술어 : 언어화의 형식을 규정해 줌
결합양식 술어 : 의사소통 기능이나 명제가 표층 구조의 일정한 단위에 의존되어 있음을 설명해 줌
전제구조 : 좁은 의미에서의 텍스트의 상황 의존성.
텍스트에 선행하는 비언어적 행위나 상황에 관련되는 언어단위지시구조 : 언어맥락을 지시(예고, 기대, 전술지시) 텍스트의 상황 의존성
표층구조 : 통사구조
해석의 제한성 <---------------------------------------> 개방성
표현의 명시성 <---------------------------------------> 모호성
장르의 전형적 형식(전개 구조, 문장 구조, 어투 등)<-----> 창의적 형식
다양성의 발생 폭
필자의 표현 의도 명시에서 장르의 관습적 요구 선까지
③ 독자의 개별성
“아줌마 혼자 다 드셨네.” → 단순한 정황 묘사 : 아기와 놀면서 주위 상황을 묘사 설명 하여 말할 때(사실 진술)
↙↘
미안함 나무람
↓ ↓
친교적 교류 뭔가를 요구한 것
8. 교육방안
구성주의적 읽기 수업의 내용
구성적 독자 양성이 목표
전반적으로 다의성 유도. 그러나 모든 다의성은 근거 있어야 함. 근거의 타당성 정도는 위에서 제시했음.
장르 상황적 전형성이 충분히 명시되었을 때는, 의미의 한정적 이해로 방향을 좁혀야 함. 물론 활용의 범주는 다르지만.
조건이 없을 때 학습자의 반응은 무지해서 단순한가 제한이 없어서 극도로 다양한가?
조건이 있을 때 학습자의 반응은 구체적이어서 분명한가 제한이 있어서 단순한가?
대체로 전자. 예) 처용가
읽기 교육은 다의성의 최대 확보여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초기에는 구체적 맥락의 체계적 제시로 다의성의 발견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맥락 --- 맥락1 --- 맥락2 --- 어렵고 복잡한 또는 관계 먼 순서로)
다의성이 뚜렷한 장르에서 다의성이 적은 장르의 순서로.
개별성이 앞설 때 근거를 찾도록 유도해야 한다.
다의성을 인식하고 발견 능력이 있을 때는
다의적 해석 범위가 좁은 장르의 제시에서 모호성이 큰 해석 장르로. 다음에 개인적 특수성을 넣을 수 있도록
참고문헌
Brinker, K. 이성만 역, 1994,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Halliday & Hasan, 1989, Language, context, and text : aspects of language in a social-semiotic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Halliday, Language as social semiotic :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Heineann W. & Viehweger D., 1991, Textlinguistik : eine einfuhrung, 백설자 역, 2001, 텍스트언어학 입문, 역락.
Renkema, J. 이원표 역, 1999,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Sperber. D. & Wilson, D., 김태옥, 이현호 역, 1993, 인지적 화용론 : 적합성 이론과 커뮤니케이션, 한신문화사.
van Dijk, 정시호 역, 1995, 텍스트학, 민음사.
김봉순, 1996, ‘텍스트 의미 구조의 표지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박승윤, 1990, 기능문법론, 한신문화사.
이성만, 1995, ‘텍스트구조의 두 가지 차원:텍스트이해의 새 지평’, 독일문학55.
□ □ □
예시 ) “가정내 아동 사고의 비율이 추락 70%, 손가락 부상 20%, 화상 3% 등으로 나타났다.”---신문에서 (정보 : 새롭고 중요하다) 소아과 병원의 벽보(당부, 주장 : 이런 점을 조심하라)
8. 텍스트 해석의 범주
: 어디까지 해석할 것인가? 어디까지 해석해야 그 텍스트에서 의도된 것을 이해한 것이라 할 수 있나.
① 장르적 전형성
모든 텍스트는 본질적으로 다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의사 소통 상황에 따라 특정 기능이 전경화될 수 있다. - 적합한 상황이 구성(‘적합성 이론’)
예를 들면, ‘한국의 갯벌’ - 과학 저널, 생물 참고서 - 정보.확언
- 환경 평가서 - 정보 (주장)
- 환경 저널, 사회 참고서 - (정보) 주장
- 간척 사업 공청회 자료 - 주장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된다.
학습용 교재 --- 정보 수준
신문의 정치면 기사 - 정보 + 여론 형성 --- 주장까지
광고 --- (정보)---설득까지
문학 작품 --- 정보, 주장, 심미성까지
* 해석범주의 폭과 표현 범주의 폭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설명문, 논설문 등의 기존 텍스트 유형 : 표현 범주를 중심으로 한 설정.
해석 기대 범주를 중심으로 유형, 장르 등을 새로 분류할 수 있을 것.
* 장르의 위배 : 실제 표현된 범주가 장르에서 기대되는 범주와 위배될 경우
--- 의도적이건 아니건 간에 위배의 의도가 해석되어야 한다.(예, 신문-관습적으로 위배)
해석 기대 범주를 넘는 해석 : 해석이라기보다 활용이다. 예를들어, 과학잡지인데 갯벌을 새만금 사업을 중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끌어낼 때, 이것은 텍스트의 의미라기보다 이해한 바의 활용이다.
* 기능 및 의미 해석의 개연성: 이유, 근거, 결과, 해결, 영향 등 대체로 인과관계의(적어도 표면상 - 시화호는 구체화 관계) 원리에 근거하여 장르(텍스트를 둘러싼 상황)의 내용에 따라 결정됨. (예, 대전제-시화호 방류냐, 새만금 정책 감사냐, 서해 AB지구에 대한 평가 시기냐)
* 기능 및 의미 해석의 지속적 확장성, 간접성 (예, 새만금 - 정부 정책의 근시성)
* 개방성과 간접성에 모두 : 상황에 따른 전경화 가능, (예를 들어, 현 민주당 사태(김대중 대통령 총재직 사퇴) -- 모두 전경화 -- 3각 구도 기사보도)
② 관습적 명시성
명시성 정도의 차 : 장르의 언어, 내용적 측면(전체 전개 구조, 제목, 제시어, 상세한 내용 정도 등), 어투(태도표현적 요소들)
Halliday(1989)
Isenberg(1976)
P.I.C.V.S. 명제구조
의도구조 : 의사소통 양식 술어(단언-주장, 언약-약속, 위협, ---)
정보양식 술어(-제보, 확인)
서술 양식 술어 : 언어화의 형식을 규정해 줌
결합양식 술어 : 의사소통 기능이나 명제가 표층 구조의 일정한 단위에 의존되어 있음을 설명해 줌
전제구조 : 좁은 의미에서의 텍스트의 상황 의존성.
텍스트에 선행하는 비언어적 행위나 상황에 관련되는 언어단위지시구조 : 언어맥락을 지시(예고, 기대, 전술지시) 텍스트의 상황 의존성
표층구조 : 통사구조
해석의 제한성 <---------------------------------------> 개방성
표현의 명시성 <---------------------------------------> 모호성
장르의 전형적 형식(전개 구조, 문장 구조, 어투 등)<-----> 창의적 형식
다양성의 발생 폭
필자의 표현 의도 명시에서 장르의 관습적 요구 선까지
③ 독자의 개별성
“아줌마 혼자 다 드셨네.” → 단순한 정황 묘사 : 아기와 놀면서 주위 상황을 묘사 설명 하여 말할 때(사실 진술)
↙↘
미안함 나무람
↓ ↓
친교적 교류 뭔가를 요구한 것
8. 교육방안
구성주의적 읽기 수업의 내용
구성적 독자 양성이 목표
전반적으로 다의성 유도. 그러나 모든 다의성은 근거 있어야 함. 근거의 타당성 정도는 위에서 제시했음.
장르 상황적 전형성이 충분히 명시되었을 때는, 의미의 한정적 이해로 방향을 좁혀야 함. 물론 활용의 범주는 다르지만.
조건이 없을 때 학습자의 반응은 무지해서 단순한가 제한이 없어서 극도로 다양한가?
조건이 있을 때 학습자의 반응은 구체적이어서 분명한가 제한이 있어서 단순한가?
대체로 전자. 예) 처용가
읽기 교육은 다의성의 최대 확보여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초기에는 구체적 맥락의 체계적 제시로 다의성의 발견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맥락 --- 맥락1 --- 맥락2 --- 어렵고 복잡한 또는 관계 먼 순서로)
다의성이 뚜렷한 장르에서 다의성이 적은 장르의 순서로.
개별성이 앞설 때 근거를 찾도록 유도해야 한다.
다의성을 인식하고 발견 능력이 있을 때는
다의적 해석 범위가 좁은 장르의 제시에서 모호성이 큰 해석 장르로. 다음에 개인적 특수성을 넣을 수 있도록
참고문헌
Brinker, K. 이성만 역, 1994,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Halliday & Hasan, 1989, Language, context, and text : aspects of language in a social-semiotic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Halliday, Language as social semiotic :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Heineann W. & Viehweger D., 1991, Textlinguistik : eine einfuhrung, 백설자 역, 2001, 텍스트언어학 입문, 역락.
Renkema, J. 이원표 역, 1999,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Sperber. D. & Wilson, D., 김태옥, 이현호 역, 1993, 인지적 화용론 : 적합성 이론과 커뮤니케이션, 한신문화사.
van Dijk, 정시호 역, 1995, 텍스트학, 민음사.
김봉순, 1996, ‘텍스트 의미 구조의 표지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박승윤, 1990, 기능문법론, 한신문화사.
이성만, 1995, ‘텍스트구조의 두 가지 차원:텍스트이해의 새 지평’, 독일문학55.
추천자료
하이브리드로 세상읽기
국어과 읽기 영역 평가의 실제
독서 감상문 [그림책의 그림읽기] 독후감
비판적 역사 읽기와 역사 쓰기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읽기 방안
공부는 못해도 인격은 무시당하지 않는다-캐나다문화읽기를 읽고
초등학교에서 한자말 글과 토박이말 글의 읽기 능력 비교 실험 연구
광고이미지 읽기 강의록
시각예술의 읽기 이론을 위하여 -푸생의 〈아르카디아 목자들〉을 중심으로-
[언어지도] 동화책의 중요성과 동화책 읽기가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술하시...
[독해력][독해력 신장방법][독해력과 청각장애아동 사례][독해력과 상위인지 관계][책읽기]독...
[중2 국어과 교수학습과정안] [읽기란 무엇인가 학습지도안]
「읽기」 영역 분석
[생활지도와 상담] 유능한 학습자들이 지니고 있는 효과적인 공부기술(주의집중, 효과적인 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