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분석
1. 교육과정에서 ‘문학과 사회’의 의미
2. 교과서 7단원 2장의 구성 분석
II. 비판
1. ‘사회’ 인식에 대한 경직성
2. 학습활동의 양적 과다
III. 대안 및 실천
1. 다양한 작품 제시와 학습활동의 제한적 활용
2. 교수․학습 지도안
1. 교육과정에서 ‘문학과 사회’의 의미
2. 교과서 7단원 2장의 구성 분석
II. 비판
1. ‘사회’ 인식에 대한 경직성
2. 학습활동의 양적 과다
III. 대안 및 실천
1. 다양한 작품 제시와 학습활동의 제한적 활용
2. 교수․학습 지도안
본문내용
없지 않다. 이런 경우 퍼즐게임 식으로 제시해도 좋을 것이다.
<개선안>
1. 이 작품에서 의미하는 ‘30년 전’은 언제인지 생각해 보자.
(1) 이 작품에서 30년 전이 언제, 어떤 시대였는지를 알려주는 실마리들이 무엇인지 퍼즐을 풀며 찾아보자.
2)
순
사
취
조
(가로 문제)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절개를 버리거나 주장을 바꾸는 일
3.
(세로 문제)
1.
2.
3.
또한 목표학습 2번의 ‘글쓴이는 죄가 없는데도 감옥에 갇혔다. 그 이유를 말해 보자’는 문제의 경우도 작자로 보이는 인물이 꽁꽁 묶인 채 “내가 왜 감옥에 갇혀야 하느냐?”고 묻는 모습과 일본 순사로 보이는 인물 옆으로 빈 말풍선을 넣은 그림을 제시해 학습자들이 그 이유를 채워 넣도록 구성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을 읽은 소감을 적어보자’는 이 작품을 읽은 소감을 한 단어로 표현해 보기나 표어나 속담으로 제시해보기 등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2. 교수학습 지도안
대단원명
IV. 문학과 사회
차시
1/2
소단원명
(2) 30년 전의 그날
학습목표
문학 작품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작품에 나타난 사회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작품에 드러난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의 인물의 행동을 파악한다.
학습자료
교사
학생
학습보조자료, 슬라이드
교과서, 필기구
흐름
교수학습 활동
학습
형태
자료 및 유의점
도입
(교사)지난 차시 핵심내용을 상기시킨다.
(교사)본 차시 학습목표를 제시한다.
문답
강의
학생의견에 격려와 지지를 보낸다.
전개
(교사)읽기 전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의 생활상을 담은 슬라이드를 제시한다.
(학생)슬라이드를 본 후 우리 민족의 생활상에 대해 생각하고 발표한다.
(학생)본문을 한단락씩 돌아가며 읽는다.
(교사)주요 내용을 강조하고 낱말 풀이를 병행한다.
(교사 학생)내용학습3번을 해결한다.
(교사 학생)목표학습1번을 해결한다.
(교사 학생)목표학습2번을 해결한다.
(교사 학생)목표학습3번을 해결한다.
(교사)학습보조자료를 제시해 다른 문화권의 작품을 보고 학습활동을 반복한다.
(교사)학습보조자료를 제시해 지역특색을 담은 작품을 보고 학습활동을 반복한다.
낭독
강의
쓰기
낭독
강의
쓰기
슬라이드
교과서
퍼즐게임
만화
학습보조자료
정리
(교사)본차시 학습내용을 요약정리한다.
(교사)다음차시를 예고한다.
강의
<개선안>
1. 이 작품에서 의미하는 ‘30년 전’은 언제인지 생각해 보자.
(1) 이 작품에서 30년 전이 언제, 어떤 시대였는지를 알려주는 실마리들이 무엇인지 퍼즐을 풀며 찾아보자.
2)
순
사
취
조
(가로 문제)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절개를 버리거나 주장을 바꾸는 일
3.
(세로 문제)
1.
2.
3.
또한 목표학습 2번의 ‘글쓴이는 죄가 없는데도 감옥에 갇혔다. 그 이유를 말해 보자’는 문제의 경우도 작자로 보이는 인물이 꽁꽁 묶인 채 “내가 왜 감옥에 갇혀야 하느냐?”고 묻는 모습과 일본 순사로 보이는 인물 옆으로 빈 말풍선을 넣은 그림을 제시해 학습자들이 그 이유를 채워 넣도록 구성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을 읽은 소감을 적어보자’는 이 작품을 읽은 소감을 한 단어로 표현해 보기나 표어나 속담으로 제시해보기 등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2. 교수학습 지도안
대단원명
IV. 문학과 사회
차시
1/2
소단원명
(2) 30년 전의 그날
학습목표
문학 작품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작품에 나타난 사회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작품에 드러난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의 인물의 행동을 파악한다.
학습자료
교사
학생
학습보조자료, 슬라이드
교과서, 필기구
흐름
교수학습 활동
학습
형태
자료 및 유의점
도입
(교사)지난 차시 핵심내용을 상기시킨다.
(교사)본 차시 학습목표를 제시한다.
문답
강의
학생의견에 격려와 지지를 보낸다.
전개
(교사)읽기 전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의 생활상을 담은 슬라이드를 제시한다.
(학생)슬라이드를 본 후 우리 민족의 생활상에 대해 생각하고 발표한다.
(학생)본문을 한단락씩 돌아가며 읽는다.
(교사)주요 내용을 강조하고 낱말 풀이를 병행한다.
(교사 학생)내용학습3번을 해결한다.
(교사 학생)목표학습1번을 해결한다.
(교사 학생)목표학습2번을 해결한다.
(교사 학생)목표학습3번을 해결한다.
(교사)학습보조자료를 제시해 다른 문화권의 작품을 보고 학습활동을 반복한다.
(교사)학습보조자료를 제시해 지역특색을 담은 작품을 보고 학습활동을 반복한다.
낭독
강의
쓰기
낭독
강의
쓰기
슬라이드
교과서
퍼즐게임
만화
학습보조자료
정리
(교사)본차시 학습내용을 요약정리한다.
(교사)다음차시를 예고한다.
강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