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헤르바르트의 교육관
2. 헤르바르트의 도덕적 품성
3. 헤르바르트의 교육방법
4. 다방면의 흥미
5. 관리ㆍ교수ㆍ훈련
2. 헤르바르트의 도덕적 품성
3. 헤르바르트의 교육방법
4. 다방면의 흥미
5. 관리ㆍ교수ㆍ훈련
본문내용
식과 기능만을 전달하는 것은 비교육적 교수로 보고 단순한 지식과 기능뿐만 아니라 아동의 도덕적 품성 또한 도야할 수 있도록 행해지는 교수가 진정한 교육적 교수로 보았다. 헤르바르트는 진정한 교육적 교수를 이루기 위해 교사는 아동이 학습에 흥미를 일으키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든 학습은 학생의 흥미와 관심으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세 번째의 교육의 단계는 훈련이다. 이는 교수가 끝나고 학생들이 배운 내용에 대해 반복하는 단계이다. 관리가 교육받을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주는 단계라면, 훈련은 명령, 상벌, 교훈, 모범 등을 통해서 아동의 지식과 기능을 익히도록 하고 도적적 품성을 기르도록 하는 단계이다. 훈련은 일시적인 교정에 의해 단편적인 효과를 노리는 것이 아닌 연속적인 도야를 목적으로 한다.
추천자료
그리스의 교육철학
그리스 사회와 교육
자아및도덕성발달
도덕의 개념과 도덕교육
학교에서 인성교육
서미힐 학교와 나가야할 교육방향
[생명과윤리]인간복제의 개념과 윤리적 논쟁에 관한 고찰(A+리포트)
인격교육(인격지도)의 성격, 인격교육(인격지도)의 필요성, 인격교육(인격지도)의 기본방향, ...
규범윤리학과 메타윤리학의 비교, 윤리적 상대주의와 윤리적 절대주의 비교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 제4부 현대 사회의 문제와 도덕교육의 역할 (15-16장)
한국(우리나라) 전통아동관과 보육에 대해 논하시오. (고려,조선,동학,개화기 아동관과 보육)
[교원의 복무규칙] 교육공무원의 복무규율
인성 향상 방법
(A+ 레포트,시험대비) [사회복지와 윤리] 윤리학의 범주 및 윤리적 가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