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구두 의사소통 기능에 관한 교육연구
구어의 유형
말하기의 간섭요인 - 구어의 특징들
구두 의사소통의 미시적 기술
교실에서의 말하기 활동 유형
말하기 기법을 설계하는 원리
회화지도
발음지도
말하기 오류의 교정 모델
구어의 유형
말하기의 간섭요인 - 구어의 특징들
구두 의사소통의 미시적 기술
교실에서의 말하기 활동 유형
말하기 기법을 설계하는 원리
회화지도
발음지도
말하기 오류의 교정 모델
본문내용
모형
- 그림 17.7 (정의적 피드백, 인지적 피드백과 말하기의 관계)
- 오류교정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결정함에 있어 Vigil과 Oller의 모형이 주는 시사점
인지적 피드백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그 수준이 적절해야 함
교사는 두 인지적 피드백 사이에 최적의 긴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함
② Skinner의 작동적 조건화 학습 모형
- 정의적, 인지적 피드백은 학습자의 반응에 대한 강화자의 역할을 함
- 작동적 조건화 학습 모형에서 교사가 주의해야 할 점 :
2. 언어수업에서 오류를 처리하는 방법과 시기
① Michael Long(1977:288)
② James Hendrickson(1980) - 오류 처리에 관한 실제적인 연구에서 오류를 총제적인 것과 국부적인 것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
기본선택 항목 가능한 특징
1. 오류를 처리할 것인가 말 것인가 1. 오류사실 지적
2. 처리를 즉시 할 것인가 천천히 할 것인가 2. 오류의 구체적인 내용 지적
3. 오류 처치를 (다른 학습자에게) 3. 재시도 기회의 제공
전이시킬 것인가 말 것인가 4. 모델 제시
4. 전이시켜 처리한다면 대상이 개인, 5. 오류 유형의 지적
소집단, 전체 학급 중 어느 곳인가 6. 교정법 제시
5. 오류 처리 후 오류 발생자에게 돌아갈 것인가 7. 개선 지적
말 것인가 8. 보상 제시
6. 다른 학습자가 오류 처리를 주도하도록 허용할 것인가
7. 오류 처리의 효과를 평가할 것인가
③ 오류 처리 방식 중 하나인 Kathleen Bailey(1985)의 분류법
④ 교실에서의 발화 오류를 처리하기 위한 모형
가. 유형 - 어휘적, 음성적, 문법적, 담화적, 화용적, 사회 문화적
나. 원인 - 모국어, 목표어, 교사, 다른 학습자, 외부의 목표어 입력, 오디오/비디오/인쇄/전자매체
다. 언어의 복잡성 -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가, 혹은 설명 및 처치가 간단한가
라. 국부적 혹은 총체적
마. 실수 혹은 오류
바. 학습자의 정의적 상태 - 약한 언어 자아, 불안감, 자신감, 수용성
사. 학습자의 언어적 단계 - 발현 단계, 체계화 이전 단계, 체계화 단계, 체계화 이후 단계
아. 교육적 초점 - 당면한 과업 목표, 수업 목표, 과정 목표/목적
자. 의사소통 맥락 - 대화의 흐름에 관련된 요소, 개인, 집단, 전체 학급 활동, 학습자 간 혹은 학습자 - 교사간 교류
차. 교사 유형 - 직접적, 간접적, 간섭적, 방임적
- 그림 17.7 (정의적 피드백, 인지적 피드백과 말하기의 관계)
- 오류교정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결정함에 있어 Vigil과 Oller의 모형이 주는 시사점
인지적 피드백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그 수준이 적절해야 함
교사는 두 인지적 피드백 사이에 최적의 긴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함
② Skinner의 작동적 조건화 학습 모형
- 정의적, 인지적 피드백은 학습자의 반응에 대한 강화자의 역할을 함
- 작동적 조건화 학습 모형에서 교사가 주의해야 할 점 :
2. 언어수업에서 오류를 처리하는 방법과 시기
① Michael Long(1977:288)
② James Hendrickson(1980) - 오류 처리에 관한 실제적인 연구에서 오류를 총제적인 것과 국부적인 것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
기본선택 항목 가능한 특징
1. 오류를 처리할 것인가 말 것인가 1. 오류사실 지적
2. 처리를 즉시 할 것인가 천천히 할 것인가 2. 오류의 구체적인 내용 지적
3. 오류 처치를 (다른 학습자에게) 3. 재시도 기회의 제공
전이시킬 것인가 말 것인가 4. 모델 제시
4. 전이시켜 처리한다면 대상이 개인, 5. 오류 유형의 지적
소집단, 전체 학급 중 어느 곳인가 6. 교정법 제시
5. 오류 처리 후 오류 발생자에게 돌아갈 것인가 7. 개선 지적
말 것인가 8. 보상 제시
6. 다른 학습자가 오류 처리를 주도하도록 허용할 것인가
7. 오류 처리의 효과를 평가할 것인가
③ 오류 처리 방식 중 하나인 Kathleen Bailey(1985)의 분류법
④ 교실에서의 발화 오류를 처리하기 위한 모형
가. 유형 - 어휘적, 음성적, 문법적, 담화적, 화용적, 사회 문화적
나. 원인 - 모국어, 목표어, 교사, 다른 학습자, 외부의 목표어 입력, 오디오/비디오/인쇄/전자매체
다. 언어의 복잡성 -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가, 혹은 설명 및 처치가 간단한가
라. 국부적 혹은 총체적
마. 실수 혹은 오류
바. 학습자의 정의적 상태 - 약한 언어 자아, 불안감, 자신감, 수용성
사. 학습자의 언어적 단계 - 발현 단계, 체계화 이전 단계, 체계화 단계, 체계화 이후 단계
아. 교육적 초점 - 당면한 과업 목표, 수업 목표, 과정 목표/목적
자. 의사소통 맥락 - 대화의 흐름에 관련된 요소, 개인, 집단, 전체 학급 활동, 학습자 간 혹은 학습자 - 교사간 교류
차. 교사 유형 - 직접적, 간접적, 간섭적, 방임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