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학파의 학자들에게 발전적으로 계승되어, 이익·안정복(安鼎福)·정약용(丁若鏞) 등의 경세치용(經世致用)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신분질서 안정
-서인 : 이이(이+기), 성혼, 김안국, 조광조 / 경험현실 - 주기론 / 기호학파
) 기호학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장파(시, 글중시)
사학파:정몽주, 길재;경학중시 → 사학(사림파)
①주리파 理
ⅰ선구자는 이언적
ⅱ집대성은 ‘동방의 주자’ 이황;관직보다 학문탐구와 구도생활에 정념
ⅲ현실이 아닌 이론중시, 학문중시
ⅳ‘이기이원론’양자는 서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을 벗어나서 인간존재를 그 현실성과 개체적 자율성 속에서 파악하는 새로운 인간이해를 통하여 실학파적 철학의 독자적 근거를 정립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김항수, 한국사8 조선전기의 성리학, 한길사
유명종(1991), 조선시대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부터 이항(李恒)· 서경덕(徐敬德) 등에 의해 이기일원론이 받아들여지다가 이이(李珥)에 이르러 이황(李滉)의 주리론(主理論)에 대립하는 주기론(主氣論)으로 집대성되었다. 이이는 이· 기의 근본이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이며, 이것이 이기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론
1) 마음의 구조
2) 마음의 작용
6. 이이의 심론
1) 마음의 구조
2) 마음의 작용
3) 이이와 이황의 성리학적 견해의 차이점
(1) 이황의 주리론
(2) 이이의 주기론
7. 공부이론
1) 동양의 공부이론
2) 서양의 공부이론
3) 이황의 공부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리론(主利論)
- 도덕적 무장, 선비정신
- 영남학파
- 호랑이에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 위정척사 사상에 영향
- 이원론(二元論), 주리론(主理論)
- 이(理)와 기(氣)는 분리되어 있다고 봄
- 이(理) > 기(氣)
7. 양명학
ㆍ왕양명(王陽明)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3.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주 이진상의 인물성동이론(인성물성론, 한국사상사연구회, 한길사, 1994) 참조.
왜냐하면 이들의 행동의 根인 사상은 반드시 척사운동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위정척사운동에 적극성을 보인 인물들은 모두 주리론을 주장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리론적 견해에서 성리학 이론 체계 발전을 가져왔다.
(2) 향약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적절히 편성 조직하였다.
(3) 사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4) 주자의 성리학을 발전시켰으며 ‘주자대전’을 중시하였다.
(5) 이기이원론, 4단칠정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리론적 견해에서 성리학 이론 체계 발전을 가져왔다.
(2) 향약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적절히 편성 조직하였다.
(3) 사학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4) 주자의 성리학을 발전시켰으며 '주자대전'을 중시하였다.
(5) 이기이원론, 4단칠정설, 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는데 주기론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퇴계 이황이 거의 철저한 주리론자라면 이 율곡의 학설은 주리설과 주기설의 중간 지점에서 약간 주기설 쪽에 기까운 감이 있는 것입니다. 서화담(서경덕)은 주기론에서 더 극단적으로 나아가 거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