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원정수 1/4이상의 요구)
2. 한국의 지방의회 소집제도
소집은 의장이 하되, 다만 총선거 후 최초로 소집되는 임시회는 의장이 없으므로, 그 자치단체의 장이 지방의회의원 임기개시일로부터 25일 이내에 소집하도록 하였음
정례회는 법령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의회의 지위
지방의회란 자치단체의 최고의사결정기관이자 헌법기관이다.
2) 권 한
지방의회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
⑴ 의결권
⑵ 출석답변요구권
⑶ 선거권(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에 위임)
⑷ 자율권
지방의회의원의 자격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1. \"시 · 도\"는 \"제주자치도\"로, \"교육감\"은 \"도교육감\"으로 한다.
2. 같은 법제23조제1항제1호 중 \"지방의회의원 · 교육의원\"은 \"지방의회의원\"으로 하고, 같은 법제26조제2항 전단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 것. 셋째 지방의회 의원의 임기를 3년에서 4년으로 한 것. 넷째 각급 지방의회에
대한 관의 통제력을 강화한 것 등이다. 자유당은 관권으로 지방행정조직을 장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렇게 지방자치가 후퇴한 배경에는 1958년 5월 2일의 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1.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자치의 이해-이론과 실제-, 서울:대왕사, 2001,p.208.
사무배분이 불명확한 이유는 사무처리에 대한 책임의 한계, 경비부담의 범위, 지방의회의관여 여부, 지도.지원.감독 등의 복합적인 관계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법에서 지방자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