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퍼뜨림
-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사람이 왕족출신 구성군과 젊은 군인 출신 남이
- 이시애의 난 진압을 통해 신공신 세력 성장 1. 조선왕조실록이란
2. 조선건국 이전
3. 태조
4. 정종
5. 태종
6. 세종
7. 문종
8. 단종
9. 세조
10. 예종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교관 역할을 해냄 → 청에서 소현세자를 왕으로 세울지 모른 다는 불안감에 인조는 장남을 내침 → 소현세자는 귀국 3개월 만에 의문사 함. <조선왕조실록 요약_2>
1. 성종
2. 연산군
3. 중종
4. 인종
5. 명종
6. 선조
7. 광해군
8. 인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은 입법권, 관리 임명권, 경찰권, 사법권 등을 일본의 권한으로 넘김
- 한일병합조약 발표(1910.8.29.) : 조선의 주권을 완전히 일본에게 박탈하는 내용
⇒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세운 500여 년 동안 유지되어 온 조선왕조의 끝
- 한일병합조약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1999, 이성무, 동방미디어
2. 재미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2004, 김용삼, 월간조선사
3. 한국사총론, 2004, 이영철, 고시연구사
4. 유네스코 지정 한국의 세계유산, 2005, 국립제주박물관, 서경
5. 역사스페셜:종이로 된 보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7.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사론』27,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2.
김병우, 「대원군집권기 정치세력」,『계명사학』2, 계명사학회, 1991.
홍순창, 「쇄국양이와 위정척사사상」,『영남사학』(56합집), 영남대 사학회, 1974.
홍이섭, 「고종시대의 조선사회」,『사회과학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는 할머니가 들려주는 옛날이야기가 아니다. 오늘 벌어지고 있는 일과 비교해 보면, 역사는 반복된다는 어느 역사학자의 통찰력이 틀리지 않음을 이해하게 된다. 1.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2.설민석의 조선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978
·신석호,「朝鮮王朝實錄의 編纂과 保管」,『사총 5』, 고대사학회, 1960
·차용걸,「朝鮮王朝實錄의 編纂態度와 史官의 歷史意識」,『한국사론 6』,
국사편찬위원회, 1979
Ⅲ. 單行本
·이성무,『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동방미디어,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6,7세 기존화주의 왕도주의적 사관
5 18.9세기-실학적 사관 자주적, 민족적, 실증적 경향
6 19세기 후반(개항후)계몽사관
7 20세기(식민지시대)
8 사관 정리
9 역사체 정리
10 왕조실록
11 지도와 지리서
12 법전, 기타
13 조선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학도라면 반드시 이 책을 숙독하기를 권한다. 고문서 자료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조선사회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에 대해 연구를 진행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 김동욱, 고문서집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요하다. 이전엔 자료수집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앞으로는 자료수집과 공동연구를 병행하여 상호간에 보완하여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야인 것이다. 1. 지방사란?
2. 한국에서의 지방사 연구
3. 이러한 지방사 연구 활성화를 위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