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겸재 정선의 금강산도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2010).
정은주, “조선후기 회화식 지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최진우, “금강사군첩으로 본 단원 김홍도의 실경산수 구도와 시점 연구 : 모사본 60폭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겸재(謙齋) 정선(鄭敾)이나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혹은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의 그림에서도 이런 정신을 찾을 수 있다. 이들은 화보 모방주의(畵報模倣主意)의 인습에 반기(反旗)를 들고, 우리 나라의 정취(情趣)가 넘치는 자연을 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홍도의 진경산수화는 선배인 김응환이 그려 준 금강산도의 예를 통해서 보더라도 도화서의 생활중 정선화풍을 만나면서 출발하였다. 그리 고 정조의 어명으로 김응환과 함께 금강산을 탐 승하고 사군첩을 제작하게 된 것이 결정적인 계 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시했던 조상들
발생시기와 배경
진경산수화의 중심, 겸재 정선
겸재 정선은 누구인가?
두드러지는 특징
진경산수화의 거장, 단원 김홍도
단원 김홍도는 누구인가?
두드러지는 특징
결론
정선과 김홍도의 비교
현대적 의의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0.05.0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와 고송유수관(古松流水館) 이인문(李寅文, 1745-1824),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64-1822), 초원(蕉園) 김석신(金碩臣, 1768-?) 등이 출현하여 겸재세대를 계승하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내게 되는데 공교롭게도 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