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수화는 무엇인가?
진경산수화란?
진경산수화가 자리잡기 까지
사생보다 관념을 중시했던 조상들
발생시기와 배경
진경산수화의 중심, 겸재 정선
겸재 정선은 누구인가?
두드러지는 특징
진경산수화의 거장, 단원 김홍도
단원 김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0.05.0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수화의 이해』 (일지사, 1991).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최완수, 『겸재정선 진경산수화』 (범우사, 1993).
<참고 논문 목록>
김미자, “실경 산수화의 구도법 연구 -실경산수화와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연과 풍속에 맞춘 새로운 화법으로 창안되었다. 1. 산수화의 특징 및 배경
1.1 산수화 vs 풍경화
1.2 발생 배경
2. 진경산수화
2.1 겸재 정선
2.2 단원 김홍도
2.3 의의
3. 풍속화
3.1 단원 김홍도
3.2 혜원 신윤복
3.3 의의
4. 참고문헌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4.06.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겸재 정선에 의해 조선왕조의 전통적인 회화기법과 중국의 남종화기법을 종합하여 금강산준법 같은 독자적인 화법을 확립하였다. 또한 단원 김홍도는 정선의 뒤를 이어 산수화와 풍속화의 새 장을 열었는데 풍속 인물뿐 아니라 도석(道釋·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화에는 몰골법에 의한 수묵산수화와 구륵법에 의한 채색산수화가 있다. 그것을 남종산수화와 북종산수화라고도 한다.
겸재 정선과 단원 김홍도는 한국적 실경으로 생활 주변과 진경산수(眞景山水)를 그렸다. 반면에 추사·소치·고람·북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