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독(가) 內:음독() 如:음독(‘다’로읽음) 辭:훈독(말-말하다) 叱:음독(ㅅ) 都:음독(도)
毛如云遣去內尼叱古 (모여운견거내니질고) 1. 향가의 표기와 그 원리
*향찰
*향찰의 원리
2. 제망매가 해석
*향찰 표기
(고대어/현대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대어·고대어·신어·유행어·폐어 등), 사용계층별(속어·비어·학생어 등)
⇒ 이에 의하면, 어휘는 매우 복잡한 체계를 이루고 있어서 음운(音韻)이나
문법과 같은 단순한 체계화는 곤란
※ 단어 vs 어휘
- 단어
|
- 페이지 54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6.03.2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카루 겐지’의 생애를 읽고 싶은 것이다.
나 홀로 등잔불 아래 책을 펼쳐 놓고 만나본 적도 없는 옛 사람을 벗 삼는 것은 더할 나위 없는 위안이다. 徒然草의 제 13단 고전읽기 발췌
요시다 겐코, 徒然草, 바다출판사, 2001, 26P
21세기, 2007년이 끝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6.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대어와 고대어, 모국어와 외국어, 방언, 대화체, 속어와 저속어 등이 존재 ㉠ 고어로서의 의복: 과거로부터 전래된 의복의 어떤 종류는 작가나 연설가들이 고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 ㉡ 외국어로서의 의복: 고유 의상에 가끔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09.11.26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대어의 양상으로부터 현대어에 이르기까지 한국어의 역사를 개관한 책이다. 최근의 명저로서는 조선조의 민중 교화서인 삼강행실을 연구한 \"諺解 三綱行實圖硏究\"(전 2권, 시부 쇼헤이[志部昭平], 汲古書院, 1990)을 들어야 한다. 본문의 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