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사 분류는 국어의 성질을 바탕으로한 것이어서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그 저서에는 명사(임)·형용사(엇)·동사(움)·조사(겻)·접속사(잇)·관형사(언)·부사(억)·감탄사(놀)·종결사(終止詞;끗)의 9품사를 설정하였으며, 또 명사는 대명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사
성분-독립어/문장부사어* 비교
접속사 설정 논란
양태부사
과연 설마 제발 어찌 하물며
설마 설령 아마 비록
제발 부디 아무쪼록
바로 오직 다만 단지
체언수식 부사어
관형사-부사 품사 통용
다 모두 조금 많이
수량부사어
부정문의 중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식 기능은 없고 체언 수식 기능만 가짐
관형사설의 장점
수식언을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사와 용언을 수식하는 부사로 분명하게 나눌 수 있음
용언을 수식하지 못하는 부사를 설정하지 않아도 됨
(ex: 무려, 근, 약, 불과…)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5.0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형사로 분류되던 낱말들을 유사한 형태의 어휘 항목이 있는 타 품사에 나누어 귀속시킴으로써 관형사가 배제된 품사분류를 시도했다.”
김선미, 프랑스문화예술연구, 한국어 관형사의 통사기능과 범주에 관한 고찰, 제 21집, 2007.
부사는 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3.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형사, 부사), 독립언(감탄사)로 나누어진다. 의미는 개별단어의 어휘적 의미가 아니라 형식적 의미를 뜻한다.
현행 학교문법에서 분류하고 있는 9품사는 대명사와 수사, 조사, ‘있다’와 ‘없다’, ‘이다’, 접속부사의 품사 설정이 문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