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하였으며, 글루코노델타락톤(GDL)의 경우 두유의 0.3%로 고정 시켰다. 그러므로 첨가하여야 하는 양은 13.05ml가 알맞았다는 결론이 나온다. 하지만,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우리조가 계산한 값은 두유 4350ml의 0.3%가 아닌 콩의 부피 1450ml의 0.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글루코노델타락톤(GDL) 등 4종류
- 글루코노델타락톤 : 유기물질 응고제로 냉각시킨 두유에 GDL을 용해시킨 후 열을 가하면 글루콘산으로 바뀌면서 단백질과 응고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
B. 소포제 :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규소수지, 글리세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타내었다. 이는 일반 두부 수율의 2배가 조금넘는 수치이다. 응고제의 농도에 대새서는 CaCl, CaSO, GDL, MgCl의 단일응고제 첨가구와 GDL+CaSO, Ca-gluconate+CaSO, 혼합응고제 첨가구에서는 응고제 농도가 0.3%에서 가장 수율이 높았으며 Ca-gluconate+CaCl 혼합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응고하게 되며 이 때 끓인다는 의미는 혼입된 균들을 멸균하고 콩속에 들어있는 소화장애 효소들(이 들은 열에 대단히 약하다)을 무력화시키는 의미이다.
5.응고 (간수치기)
황산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글루코노델타락톤등의 응고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타민 등), 각종 착향료, 착색료(치자색소, 카로티노이드, 캐러멜 색소, 홍국색소 등), 감미료(소르비톨, 액상과당, 스테비오사이드, 감초 등), pH조정제(초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사과산타트륨, 글루코노델타락톤 등), 색소유지제(니코틴산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8.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