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영 전집 2, 산문, 민음사
김승희(2000), 김수영 다시 읽기, 프레스21
신정은(1995), 박인환·김수영의 1950년대 시 대비 연구, 경북대학교
이민호(2000), 현대시의 담화론적 연구 김수영·김춘수·김종삼의 시를 중심으로, 서강대 박사
최하림·김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춘수와 김수영의 시학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다. 김춘수는 갈고 닦아진 언어로 서술적 이미지들을 만들어내는 무의미시를 지향하였고, 이 서술적 이미지들은 관념이 배재된 상태이기 때문에 순수하였으며, 따라서 그러한 이미지들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통점을 지녔다고 생각한다. 김춘수는 예술적인 특질로, 현실과 배제된 상태에서의 본질 추구를 주장하였고, 김수영은 현실 자체를 시 속에 투영시켜 그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꽃'으로 대체하여 말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수영과 김춘수』, 푸른사상사, 2005.
첫째, 현실 인식을 통한 인간성의 회복과 같은 시정신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이다. 김수영은 현실의 인식을 통해 그의 문학을 이루었다. 그의 산문은 삶과 예술의 일치를 시도했던 그의 생활상을 반영하고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춘수는 벼리고 벼려내어 나중에는 시어의 의미가 비약되어 알 수 없는 시어를 사용했다. 이는 시인 모두가 추구하려는 본질에 다가가려는 시도였지만 각각의 방법적인 면에서는 매우 대비되는 양상을 띠었다. 이것을 김수영의 「四.一九」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05.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