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土亭遺稿』 附錄, 諡狀 1 남명과 토정은 우선 기질이 비슷했다.
2 조식과 이지함 양인은 해안지역이라는 지역적 기반에서도 유사성이 발견된다.
3. 조식과 이지함의 학풍은 주로 北人학자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풍을 세운 것은 성리학의 당초 이론지향적인 면을 실천지향적으로 방향전환을 모색한 대 혁신이었다고 할 만하다.
참고문헌
예문동양사상연구원오인환, 『남명 조식』, 예문서원, 2004
손영식조남호, 『남명 조식의 철학사상연구』, 서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명과 퇴계는 성리학이라는 같은 바탕위에 서로 다른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전혀 다른 학풍을 이루어 냈다. 퇴계는 정통적인 성리학을 연구하여 \'동방의 주자\'라는 칭호를 들을 정도의 학문적 성과를 이루어 내었고 경상좌도를 중심으로 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명이 하학위주의 실천적 학풍을 확립하였으나 이후의 학문이 이론지향적으로 흘렀으며 한편으로는 남명의 학풍을 이단시하는 경향이 대두되었다. 퇴계는 \"曺楗仲의 사람됨에 대해서 평한 것은 실상에 부합되나 의리에 대해 논한 부분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명은 많이 비교되는 퇴계에 비하여 많은 글을 남기지 않았지만 시문이나 학기유편들을 통해 그에 대해 알수 있을 것이다.
남명은 현실에 안주적이고 실천이 수반되지 않는 학풍에 대해 나라의 녹만 축내는 것이라 크게 비판하였다, 훈구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