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위내에서는 을의 대리행 위에 의하여 본인인 갑에게 그 효력을 미치는 유효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大判 1987. 9. 8. 86다카754)
<민법 제129조 및 제126조 표현대리의 혼용> … [1] 민법 제126조의 표현대리는 현재에 대리권을 가진 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9.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인에 있어서와는 달리 본인의 보호를 거래안전의 보호보다 우선시킬 이유가 없으므로 제126조의 표현대리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한다. 또한 일상가사대리의 범위를 넘은 경우에는 그 행위에 대한 대리권수여의 문제로 다루지 않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현대리의 개념
2. 표현대리의 의의
3. 표현대리의 성립요건
4. 표현대리의 근거
5. 표현대리의 종류
6. 대리권수여의 표시에 의한 표현대리
7.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
8. 대리권소멸후의 표현대리
9. 표현대리의 효과
1) 원칙
2) 철회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4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종헌 편저. 핵심정리 민법. 고시연구사
홍성대. 민법총칙.대영문화사
지원림. 민법강의.홍문사 1.표현대리의 개념
2. 대리권수여의 표시에 의한 표현대리
3.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
4. 대리권 소멸후의 표현대리
5. 표현대리의 효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0.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인 乙이 제시한 위임장을 신뢰했을 가능성이 많다.
Ⅴ. 결 론
丙은 乙이 제시한 위임장을 기초로 乙에게 대리권이 있다고 믿었고 乙이 수권한 범위를 초과했다는 사실을 몰랐음에 과실이 없었으므로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가 성립한다. 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