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희조, 2016, 음성학과 음운론의 경계,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이희란 외, 2021, 언어학개론, 에이스북
해커스 원격평생교육원, 언어학개론 교안 Ⅰ. 서론
Ⅱ. 본론
1. 뜻과 지시의 개념
2. 뜻과 지시의 차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5.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념지시에 그치는 언어로 보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다시 한번 생각해 보면 분명히 이 부분에는 산과 거기에 피어 있는 꽃에 대한 화자의 정감이 담겨 있다. 그러니까 〈저기 저 산에 피어 있는 꽃은 저렇게도 소담하게 외롭게, 또는 앙증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N brauo에서 \'bread\'를 차용하였다.
㈂ OE dwellan은 본래 \'lead astray\'를 뜻하였으나 ON dvlja에서 \'delay\'를 차용하였다.
3. 어의전이
어의 전이(어의 전이)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예를 들어 long, short은 그들이 통상 지시하는 공간적 개념에서
|
- 페이지 99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10.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념에서는 동양화기법의 산수묵화(山水墨畵)나 담채화(淡彩畵)는 제외하고 서양화기법 중 투명묘법(透明描法)에 의한 것과 함께 불투명성 물감에 의한 템페라나 아라비아고무 등을 사용한 과슈 등의 그림은 수채화의 범주 속에 포함시키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념이다. 낱말로서는 똑같이 신(theos, deus)이라고 표현되더라도, 존재자의 유래를 자연 발생적으로 파악하는 이신론(理神論, deism)이 있는가 하면, 그것을 의지적인 창조의 결실로 파악하는 유신론(有神論, theism)이 있다. 이 가운데 이신론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7.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