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래야 한다.’[應當如此]는 생각이 행위에 대하여 일종의 규제작용을 하게 됨에 인하여 일종의 법칙성을 나타내는데 우리는 이에 근거하여 이것을 도덕률 혹은 ‘당연지리’(當然之理)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 어떤 이가 주자에게 ‘사물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자학)의 사상체계
사상체계: 이기론(理=태극. 道→원리, 법칙, 도덕률, 기에 질서를 주는 통제자로서 形而上
氣=음양으로 대체되는 현상, 이의 주재, 끊임없이 생멸하는 것, 形而下)
이러한 이기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신성을 설명하는 인성론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치를 모른다. 우리 儒家는 반드시 앉는 이치는 마땅히 尸童처럼 해야 하며, 설 때의 이치는 마땅히 齊를 모시는 것처럼 해야 하며, 머리는 곧게 세워야 한다는 것을 안다. 그러므로 석씨는 理가 없다.
여기에서 주자는 행동 하나 하나에도 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정은 원에 통합된다.
천인합일의 관점에서 원형이정이 인간에게 내재되면 인의예지가 된다. 이러한 사덕을 이끄는 원리 역시 살리고자 하는 마음 곧 인이다. 따라서 인(仁)은 천리(天理)이고, 살리고자 하는 마음이다.
<수양론>
주자 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러한 선지후행(先知後行)의 원리에 입각했을 때 격물치지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런데 대학에서 “격물(格物)”은 언급하였어도 “궁리(窮理)”는 언급하지 않았는가? 주자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우리가 궁리만을 말하게 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