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대할 것이 아니라 同條에 규정된 被害者의 遺族에 限하여 慰藉料請求權이 인정된다. I. 서 언
II. 위자료청구권의 상속성 여부
1. 긍정설
2. 부정설
III. 위자료청구권자의 범위
1. 학설 소개
2. 판례 소개
3. 비 판
IV. 결 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Ⅳ. 재산분할청구권의 법적성질
Ⅴ. 재산분할청구권과 위자료청구권
1. 학설
1) 포괄설
2) 한정설
2. 판례
Ⅵ. 재산분할청구권의 판례
1. 사건의 개요
2. 심판의 대상
Ⅶ. 재산분할청구권의 제고 방안
Ⅷ.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구권의 근거가 되는 민법 조항은 명시적으로 없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민법 제751조의 신체상해에 대한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근거로 이에 대한 위자료청구권자가 민법 제752조의 친족 및 동조에 규정되지 않은 친족들의 경우에도 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자료를 청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전체를 포괄하여 1개의 不法行爲로 보는 것이 실무적 감각에 부합할 것이다. Ⅰ. 서 언
Ⅱ. 이혼위자료청구권의 법률적 성질
Ⅲ. 이혼위자료청구권의 내용
Ⅳ. 이혼위자료와 관련된 문제
Ⅴ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 제766조 제1항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청구권은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인하여 소멸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서 말하는 '손해를 안 날'이라 함은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