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권
b. 소유권, 제한물권
c. 용익물권, 담보물권
4)물권의 효력
2. 물권행위와 등기
1) 물권행위와 등기
2) 등기의 의의
3) 등기에 대한 특수사항
a. 중간생략등기
b. 실제와 다른 등기원인에 의한 등기
c. 무효등기의 통용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10.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권,부록)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참고 법령
도로의구조·시설기준에관한규칙 [일부개정2006.5.30건설교통부령제329호] 제18조, 제19조 1. 곡선반경의 정의 및 필요성
2. 평면곡선부에서의 힘의 작용
3. 설계속도에 따른 곡선반경
4.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점유를 정당하게 하는 권리, 즉 정당하게 점유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도인은 점유권은 있지만 정당하게 점유할 수 있는 본권은 없다.
9. 준점유가 성립될 수 있는 것은?
1. 무체재산권 2. 류치권 3. 지상권 4. 전세권 5. 임차권
* 준점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권없는 점유자로서는 입증의 어려움 및 절차상의 번거로움 때문에 점유 자체를 보호받는다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설사 점유보호청구권이 가처분절차로 행사된다 하더라도 현행 민사소송법상 점유물 반환가처분은 소위 단행가처분으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권의 적법추정력을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민법 제197조 제1항은 자주점유의 추정을 인정하고 있다.
본권의 추정력은 게르만법상 Gewere에서 유래된 것임은 명백하다. 그러나, 자주점유의 추정에 관하여는 소유권만을 전제로 해서 인정되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