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역사학계의 시기별 동향
(1)기초 축성기 : 1945년 해방~한국전쟁
(2)체계적 정립기 : 한국전쟁~1960년대 후반
(3) 주체사관의 전면화 : 1960년대 후반~현재
3. 역사관과 역사인식의 특성
(1) 변증법적 유물사관과 주체사관
(2) 역사 평가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8.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역사연구기관·연구지 및 연구자 양성과정」『역사와 현실』제3호
박태균, 1994「북한 역사학의 전개와 역사인식」『한국사』23, 한길사
도진순, 1994「북한 역사학계의 동향과 역사인식의 특성」『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하), 창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역사학이 고대국가 및 봉건국가 이해에서 또 하나의 특성은 고조선과 고구려를 중심으로 계통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인식은 남한 학계의 고대사 인식과는 많은 차이가 잇다.
셋째, 북한은 봉건사회를 남한 학계에 비해 비교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비평』 83호, 역사문제연구소, 2008.
※ 예대열, 「미국 역사학계의 북한사 인식 비판」, 『한국사학보』 36호, 고려사학회, 2009.
※ 김영호, 「탈냉전기 냉전 기원의 새로운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35집 2호,
한국정치학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강하고 국내에서 유일한 '고구려 문화'라는 이미지는 그런 면에서 아주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Ⅰ. 머리말
Ⅱ. 구리시에서 발굴된 고구려 유적과 유물
Ⅲ. 고구려 유적의 지역문화 특성화 방안과 그 의의
Ⅳ. 맺는말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