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본식으로 윤회의 주체이자 업의 소장처 그리고 온갖 것의 변현처로 삼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동화(1984), 불교학개론, 보련각
◇ 김현준(2010), 불교근본교리, 효림
◇ 스티브 하겐 저, 이복희 역(2008), 간단명료한 불교, 우리출판사
◇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으로 이 무자성(無自性)인 것은 곧 공인 것이다.4)이처럼 『반야경』은 법의 공을 주요한 과제로 삼고, 대승불교의 전개했다. 1. 들어가는 말
2. 연기법(緣起法, pratītya-samutpāda)
3. 대승불교의 성립
4. 공사상(公思想)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리에 입각해 설한 것으로 自性淸淨心사상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여래장 사상은 중관과 유식의 이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승만경>, <여래장경>, <열반경> 등에 의해 확립되었다.
이 여래장 사상이 대승불교학설로 완전하게 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교의 궁극적 진리(진체)
-말로써 표현될 수 없음. 언어도단(言語道斷:말이 끊어져 버림)
-불립문자(不立文字:글을 세우지 않는다), 이심전심(以心傳心), 선문답
→인간의 말로써는 불교의 궁극적 진리를 표현할 수 없음.
*지식아닌 지식 수양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교의 근본적 입장으로서 대승·소승을 통하여 중시되어온 사상.
석가의 깨달음도 최초의 설법도 이 중도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한다. 원시·부파(部派)불교에서는 고·낙의 이변(二邊)을 떠난 실천인 팔정도(八正道)를, 또한 단·상, 유·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