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난가능성의 근거)
Ⅰ道義的 責任論
1. 意義
2. 內容
3. 評價
Ⅱ 社會的 責任論
1. 意義
2. 內容
3. 評價
Ⅲ 人格的 責任論
[3] 責任의 本質
Ⅰ. 心理的 責任論
1. 意義 파악
2. 內容
3. 批判
Ⅱ. 規範的 責任論
1. 意義
2. 有形
3. 批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난가능성에 대한 유형별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490-511.
3. 박명숙. \"아동학대 유발요인으로서 장애아동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1 (2002): 311-327. 1.
서론
2.
본론
1) 지적장애아동의 상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난가능성으로서의 책임도 고의범과 동일한 구조아래 파악된다. 즉 과실범에서도 책임비난을 위하여 책임능력, 위법가능성(금지착오) 그리고 면책사유의 부존재(형법상 제22조 제1항의 일부로서의 면책적 긴급피난을 비롯하여 제21조 제2항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난가능성이라는 점에서 고의범의 경우와 같다. 따라서 과실범의 책임도 책임능력과 위법성의 인식을 전제로 한다.
1. 책임능력·위법성인식·기대가능성
과실범에서도 행위자는 유책하게 행위할 수 잇는 책임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위법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난을 가능하게 하는 사태를 전제로 하며 사태를 전제로 하지 않는 비난 평가는 어색하다.주33) Welzel도 責任非難(評價)의 對象과 對象에 대한 評價는 총체적으로 책임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보기는 했으나 그의 책임론의 초점이 비난가능성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