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도세자죽음에 대한 입장으로 시/벽파로 분열
벽파(노론)
영조외척 김귀주
시파(남인+소론,노론)
세자외척 홍봉한
선조때 붕당정치 시작, 현종때 절정, 숙종때부터 변질, 정조때 시/벽파 대립후 19C 세도정치로 이어짐 I. 사림의 집권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도세자의 병을 고치기 위해 갖은 애를 썼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정신병이 있다는 것은 한중록에서만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혜경궁 홍씨는 사도세자의 죽음에 부정할 수 없는 정치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남편의 죽음에 대한 변명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도세자의 지지 세력인 소론이 개혁적이고 선인가? 반면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고 갔던 노론은 악인가? 권력 투쟁을 너무 선악 구도로 파악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단지 사도세자는 권력에 패배했고, 노론은 승리했다는 차이뿐이다. 역사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정조가 즉위식 날 가슴속에 간직해온 한 마디를 선포했다. 이는 노론을 경악케 했고 사도세자가 못 이룬 개혁을 추진하다가 정조는 의문의 죽음에 처했다. 사도세자의 인품, 사고, 개혁정신 등은 시대적으로 받아들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닐까 하고 생각이 된다.
수많은 역사소설이나 TV 드라마, 영화 등이 이 책을 기본 텍스트로 삼아 쓰여졌다. 그러나 『한중록』이 사도세자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서 쓴 책이 아니라는 사실은 간파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두 『한중록』의 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