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동문의 형성 방법
(예 : 얼음이 녹는다 -> (난로불이) 얼음을 녹였다.) : 주동문의 용언이 자동사
(예 : 담이 높다 -> (아저씨가) 담을 높였다) : 형용사
(예 : 철수가 짐을 졌다. -> (아버지가) 철수에게 짐을 지웠다) : 타동사
(1) 주동문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문의 형성 방법과 그 문법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의 통사·의미적 차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목 차 -
1. 현행 학교문법의 품사분류 체계에 대하여 쓰고, 그 품사분류에서 논란이 되는 문제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9,100원
- 등록일 2020.06.11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다.
※ 어휘적 사동문
어휘적 사동(예: 시키다)을 가진 문장 (1) 사동과 주동
(2) 사동 실현 방법
(3) 사동문 되기(= 사동문 변형)
(4) 사동사의 형성
(5) 파생적 사동문과 통사적 사동문의 의미차이
(6) 두 사동문의 통사적 차이점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1.1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문으로 간주되는 형식이 있다. 조동사 ‘-게 하다’에 의한 구성이 그것인데, ‘-게 하다’는 접미사 사동이 불가능한 동사는 물론 가능한 동사 어간에도 결합되어 사동문을 형성한다. 그만큼 사동사 사동보다는 넓은 범위의 동사에 적용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법도 다르다. 통사적 사동문의 경우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의 구성이기에 서술어는 두 개의 시간 부사어의 수식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즉, 파생적 사동문의 경우는 사동사에 의해 실현되므로 서로 다른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어가 동일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