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사동과 주동
사동: 주어가 남에게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것.
※ 사동문
예) 어머니가 철수에게 옷을 입혔다.
(입혔다--사동사)
주동 : 주어가 동작을 직접 하는 것.
※주동문
예)철수가 옷을 입었다.
(입었다—주동사)
① 파생적 사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1.1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사에 의한 사동문과는 그 파생 과정이나 구조가 사뭇 다르나 그 의미 기능이 공통되는 바가 있어 일종의 사동문으로 간주되는 형식이 있다. 조동사 ‘-게 하다’에 의한 구성이 그것인데, ‘-게 하다’는 접미사 사동이 불가능한 동사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사 다음에만 쓰일 수 있으나, 통사적 사동법인 (16)ㄴ,(16)ㄷ에서는 의존동사의 실현 자리가 두 군데 있으며. 따라서 그 의미해석도 다르다.
주체높임의 실현
주체높임의 <-으시->가 쓰일 수 있는 자리가 파생적 사동법에서는 한 자리밖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4.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사 설정의 문제
1) 전형적인 사동사
- 사동사(使動詞, causative verb)는 주동사에 ‘-이, -히, -기, -리, (이)우, -구, -추’ 등의 사동 접사가 붙어 이루어진다.
(예) 기울다-기울이다, 굽다-굽히다, 감다-감기다, 갈다-갈리다,
깨다-깨우다, 돋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사에 의한 사동법(파생적 사동문)
동사나 형용사에 사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 ’가 결합하여 실현
예) 먹이다. 입히다. 살리다. 벗기다. 채우다. 돋구다, 낮추다.
① 자동사나 형용사에서 파생된 사동사가 쓰인 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