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둔다.
이때 입사구는 포사체 운동을 하므로 추가 지면에 도달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수평거리와 수직 높이를 재면 충돌전의 속력 V¹를 계산할 수 있다.
<V¹을 구하는 법>
3. <그림 2>장치 끝에 있는 홈이 파진 나사에 표적구를 올려놓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려 떨어진 장소와 수직기 끝점이 지시하는 지점과 수평거리 를 5회 측정하여 기록하고 평균값을 구한다.
(5) 입사구가 낙하한 수직거리 H를 측정한다.
(6) 과정 (4), (5)의 측정값으로 입사구의 속력 를 구한다.
그림 4-1 2차원 충돌 장치
그림 4-2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④ 입사구가 낙하한 수직거리 H를 측정한다.
⑤ 과정 ③,④의 측정값을 v₁t=r 와 ½gt²=H 의 관계로부터 구한 v₁=√(r²g/2H 에 대입하여 입 사구의 속력 v₁을 구한다.
⑥ 표적구를 입사구와 약 40°의 각을 유지하도록 올려놓고 과정 ③에서 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운동량
성분
충돌 전
충돌 후
입사구
x
325.59
195.7
y
0
215.27
표적구
x
0
137.82
y
0
-54.74
계
x
325.59
333.52
y
0
270.01
충돌 전 : =
충돌 후 : =
=
=
= -
+ = 333.52
= 270.01
3. 토의
실험 중에 계속 표적구를 올려놓는 곳에 있던 볼록 튀어나온 부분에 입사구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7.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운동량은 보존된다.
, 으로 선운동량 보존이 일어나지 않았다. 쇠구슬이 낙하할 때 공기의 저항으로 인한 마찰이 운동량 손실을 만들었다.
(2) 일 때 탄성충돌이다.
①
②
으로 위 실험은 탄성충돌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동에너지 으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운동량 보존법칙에 대해서 더 많이 알고 있었으면 오차도 적게 측정되고 실험에 걸리는 시간도 줄 일수 있었을 텐데 많은 아쉬움이 든다.
이번 실험을 계기로 충돌 전후 물체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운동량이 보존된다는 개념에 대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7.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이면, F=0 이면) 운동량의 시간에 대한 변화율 dp/dt가 영이므로 선운동량 p는 시간이 흘러도 바뀌지 않는다. 이것이 선운동량 보존 법칙이다.
만일 대상 물체의 질량이 바뀌지 않는다면 운동량은 질량과 속도의 곱이므로 운동량이 변하지 않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동량은 벡터량으로서, 입자를 정지시키는데 따르는 어려움을 나타내는 척도로 볼 수 있다.
P= MV_cm = SIGMA m_i v_i = 일정
계에 작용하는 외부 힘이 0이면, 계의 질량중심의 속도는 일정하고, 계의 총 운동량은 보존된다. 즉, 총 운동량은 시간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3.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적
2. 이론
1) 역학적 에너지 보존의 이해
2) 구의 공간 운동 장치에서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보충자료 - 강체 (rigid body), 관성모멘트(moment of inertia)
3. 실험장치 및 방법
1) 실험 기구 및 장치
2) 실험 방법
4.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같으므로 탄성력을 F라고 하면
F=-kx
가 된다.여기서 (-)는 F와 x의 방향이 반대인 것을 의미한다.
⑤용수철의 연결: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이 있다.
ⓐ직렬 연결(탄성력 F는 동일):용수철 상수 k1,k2 일 때 합성 용수철 상수 를 k라고 하면 다음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