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즉리(性卽理)와 이기성(理氣性)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성즉리(性卽理)는 대우주에는 완전히 조화된 이(理)가 흐르고 있고, 그것은 인간의 성(性)에도 깃들어 있는데, 이성(理性)이 곧 그것이라는 것이고, 이기성(理氣性)은 만물을 구성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즉리(性卽理)설
o. 인간의 본성(本性) 중시
o. 마음(心)과 이(理)를 분리시킴
o. 비교적 사물의 객관적 심(心)의 측면 중시
o. 경험적, 귀납적 방법 - 도덕적 실천과 함께 이론적 탐구로서 지식의 확충 주장-
격물치지(格物致知) - 궁리(窮理)
o. 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행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의 절차, 세목 즉 예절을 알아야하지 않겠느냐는 반문이다. 왜냐하면 예절은 선험적이라기 보다는 사회와 인위적인 것에 더 의존하기 때문이다.
왕양명이 볼 때 禮로 대표되는 행위의 구체적 방식, 규정 등은 윤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련된 여러 주제를 놓고 오랫동안 논쟁이 전개되었다. 사단칠정(四端七情)·인심도심(人心道心)·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등의 문제에 관한 논쟁들은 모두 여기에서 갈라져나온 것이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집착’
3) 본체 상에의 ‘첨가’
4) ‘상달(上達)’만의 추구
5) ‘고의성’과 ‘정체성’ Ⅰ.왕양명이 창립한 '심학'
Ⅱ. 명대 심학(心學)의 대두
Ⅲ. 천일합일사상
1. 양지·양능
2. 심즉리
3. 성즉리
4. 성인론과 교학론
5. 이단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100원
- 등록일 2009.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