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동가치성의 개념
2) 동가치성의 내용
III. 不眞正不作爲犯의 主觀的 構成要件
제4장 結 論
I. 특가법 제5조의3제1항제1호의 위반여부
II. 부진정부작위에 의한 살인죄의 성립여부
III. 유기치사죄의 성립여부 20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6.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진정부작위범의 성립요건이기는 하나 항상 성립요건이 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행위정형의 동가치성이라는 요건이 있다. 구성요건적 행위가 특정한 수단과 방법에 의한 경우, 즉 일정한 행태에 의하여서만 구성요건적 결과가 발생해야 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성요건해당성
1. 살인고의의 인정여부
2. 부작위의 동치성
(1)의의 및 요소
(2)보증인지위
3. 부진정부작위범의 실행의 착수시기
IV. 작위의무에 대한 착오
1. 작위의무의 체계적 지위
2. 금지착오의 법적 효과
V. 결론
VI.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칙이다.r Ⅰ. 부작위범과 공범
1.부작위범에 대한 공범
2.부작위에 의한 공범
3.결론
Ⅱ. 부진정부작위범의 성립요건
1.보증인적 지위
2.행위정형의 동가치성
3.결론
Ⅲ. 부작위범의 성립요건
1.구성요건해당성
2.위법성
3.책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진정부작위범에 있어서 실행의 착수의 문제이다. 피고인측은 피해자를 저수지에 데리고 간 것은 살인의 예비행위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원심처럼 살인죄를 인정하려면 최소한 실행의 착수가 인정되어야 한다. 부작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