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 충분하고도 명백한 입증이 없는 한 위 추정은 깨어지지 아니한다(大判 1998. 8. 21. 98다8974). 민법상 실종선고 검토 (민법)
1. 실종선고의 요건
2. 실종선고의 효과
3. 실종선고의 취소
5. 실종선고와 관련하여 주의할 점
6. 인정사망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종선고가 확정되어 그 사망간주의 시점이 소 제기 전으로 소급하는 경우에도 위 판결 자체가 소급하여 당사자능력이 없는 사망한 사람을 상대로 한 판결로서 무효가 된다고는 볼 수 없다(대판 1992.7.14 92다2455).
V. 참고문헌
김형배, 민법학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선고 전의 상태로 회복되고, 실종기간이 만료한 때의 다른 때에 사망한 사실이라면, 그 실제의 사망일을 기준으로 법률관계가 확정된다. 그리고 실종기간의 기산점 이후의 어떤 시점에 생존한 사실이라면, 역시 선고 전의 상태로 회복하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취소(810,816)할 수 있다. (다수설)
그러나 입법론으로는 혼인의 경우에는 현재의 생활관계의 보전이 중요하다는 측면에서 후혼은 유효하다고 본다. (일본의 유력설) (1)의의
(2)실종선고의 요건
(3)실종선고의 효과
(4)실종선고의 취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총칙 (박영사 2004)
3)김종원, 핵심정리민법 (고시연구사 2004)
4)강양원, 뉴에이스 민법 (네오시스 2004)
5)임영호, 민법의 정리 (유스티니아누스 2003)
6)저명교수엄선 700제 민법, (법률저널 2005) 1. 意 義
1)개념
2)부재선고제도와 특별실종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