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7건

일찍부터 옛날의 어진 사람의 마음을 구하고 있었더니, 혹은 앞에서 든 것과 같은 두 가지 경우의 슬픔과 즐거움이 각각 다른 것은 무엇 때문인가? 인간애를 행하는 어진 사람은 외물(外物)로 말미암아 기뻐하지도 않으며, 자기의 개인의 일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기다려 주지 않는다. 2)도연명陶淵明)의 잡시(雜詩)에서 나옴. 선우후락(先憂後樂) 先 먼저 선 憂 근심 우 後 뒤 후 樂 풍류 락(낙) 1)근심은 남보다 앞서서 하고 즐거움은 남보다 뒤에 즐거워한다. 2)범희문(范希文)의 악양루기(岳陽樓記)에서 나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기고자 하는 송강의 애민 정신과 선정(善政) 포부가 느껴지는데, 이는 '선우후락(先憂後樂)'의 정신이다. 송나라의 범중엄(范仲淹)이 쓴 '악양루기(岳陽樓記)'의 끝부분을 보면 다음과 같다. "어진 이는 외물(外物)로 말미암아 기뻐하지 않으며,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기뻐하고 또 신변에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났다고 해서 신세 한탄을 하는 게 아니라 보다 크게 생각해서 주변의 일들에 연연해 하지 않고 항상 백성을 생각하고 군주를 근심하겠다는 그의 관리로서의 좌우명이 岳陽樓記에 잘 표현되었다고 생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기 * 筆 -> 墨 -> 硯 = 動,銳 -> 靜,鈍 = 夭 -> 壽 11) 岳陽樓記 范仲淹 慶曆四年春 子京謫守巴陵郡 越明年 政通人和 百廢具興 乃重修岳陽樓 增其舊制 刻唐賢今人詩賦于其上 屬予作文以記之 予觀夫巴陵勝狀 在洞庭一湖 銜遠山 呑長江 浩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