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앎과 삶에 대한 윤리학적 성찰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1998
중국철학과 지행의 문제 (방립천, 예문서원)1996
우리들의 동양철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1997 앎과 행동의 문제
1.들어가는 말
2.중국사상가들의 지행의 문제
1)공자
2)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칙과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미.\" 초등도덕교육 0.49 (2015): 215-239.
이영문 ( Young Mun Lee ). \"도덕교육에서의 지행의 괴리 문제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해법 연구.\" 초등도덕교육 0.38 (2012): 77-100. 1. 제목
2. 서론
3. 본론
4. 결론
5.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행합일(知行合一), 정좌(鼎坐), 존천리거인욕의 성의를 가르치다가 말년에는 치양지설(致良知說)을 제창했다. 지야지는 마음의 본체이자 천리이고 가장 근본적인 앎이지만 이러한 양지를 현실의 앎과 행동으로 옮기자면 치(致)의 노력이 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동에 옮길 수 있고, 행동에 옮길 수 없는 지(知)는 아직 미숙한 지(知)가 된다. 지(知)와 행(行)은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진정한 지(知)는 행위에까지 나아가지 않을 수 가 없다. 지(知)는 행(行)의 시작이요 행(行)은 지(知)의 결과로서, 지행(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제제기)
-왕룡계 : 마음이 무선무악이라고 한다면, 뜻. 앎. 물 역시 무선무악이라고 문제제기
왕양명의 가르침을 궁극적 경지에서 이해할 때 긍정적
왕룡계-> 하심은 -> 이탁오 로 이어짐
이탁오에 이르러서는 왕명좌파의 폐단이 극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