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말어미는 단어 끝에 분포하는 어미라는 뜻으로서 문장 속에서 그 단어의 문법적인 기능을 나타낸다. 어말어미는 다시 그것이 한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하느냐 아니면 그러지 못하고 그 다음으로 문장을 더 이어지게 하느냐에 따라 종결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에 기반한 새로운 문법 기술을 시도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이 부족한 나로서는 두 가지 관점중 어떤 것이 더 타당성있다고 결론 내리기는 힘들다. 다만 기존에 어말어미나 어미체계를 다루던 방식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어말어미 중 ‘정동사어미(종결어미)’에 관하여
1. 들어가며
어말어미는 기능에 따라 셋으로 분류된다. 그것은 정동사, 부동사, 동명사를 이루는 어미들이다. 정동사는 대체로 경어법, 시상법, 의도법의 선어말어미들이 나타나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말어미 \'-오/우-\'의 형태소 배열은 현재 시상의 어미 \'-다-\' 공손법어미 \'-힝/힝-\'에 선행하고 다르 선어말어미에는 후행한다. 의도법의 선어말어미가 이들 어말어미들에 선행하면 화자의 강한 의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3.2 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말어미 ‘-시-’ 앞에서는 ‘ㄹ’유지되고,
‘ㄷ,ㅈ’어미 앞에서 언제나 ‘ㄹ’이 탈락)
(2)모음어간의 규칙적 교체
①모음연접규칙 : ‘ㆍ+ㅏ→ㅏ, ㅡ+ㅓ→ㅓ’ 예외)‘오-→요, 아→야’
②음절말이 ‘/르’ : ‘게으르-→게을ㅇ-’, ‘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