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지를 회복한 사람은 즐겁지 않을 수 없다.
(6)심체는 정(定)이다
(7)심체는 성(性)이다.
※양명은 성을 기(氣)로 간주하여, 성즉기를 주장한다.
2)양지
3)치양지
(1)치양지의 의미
(2)치양지의 방법 (격물치지)
4)지행합일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행합일설, 치양지설을 주장하였으며, 특히 주자(1130-1200)의 선지후행설과 격물치지설에 반대하는 이론을 세웠다.
이는 곧 주자학을 신봉하던 조선조의 유학자들이 왕양명의 학문을 이단의 학설로 지목하는 한 이유가 되기도 하였다.
주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치지에서 실천을 포함하지 않으면 지라고 할 수 없다.
*지와 행
“생각이 일어나면 그것이 실행임을 깨달아라.”
“지는 행의 시작이고 행은 지의 완성이다.”
“지는 행의 주의이고 행은 지의 공부이다.”
“치양지가 곧 지행합일이다.”
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9.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치시키고 있다. 원형리정은 원으로 총괄되어 인이 되는 것이므로 존재의 궁극은 주체의 궁극과 합일한다. 주자의 성정론은 정이천의 인은 성, 애는 정\'이라는 설과 장횡거의 성은 성정을 표한다.\'라는 설을 합한것으로, 성즉리\'이다.
5. 결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치지(致知)\'가 필요하다. 둘째, 격물치지란 왕수인은 성리학과는 달리 격물에서의 「격」은 「바로잡음」을 의미하고 「물」은 일(事)을 의미한다고 보고, 일상적으로 행하는 일을 바르게 처리하는 것을 격물로 보았다. 셋째 지행합일(知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