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간과 한원진의 未發心體善惡論 비교
Ⅲ. 人物性同異論의 비교를 통한 현실 긍정의 이론----- 16
1. 巍巖 李柬의 사상에서 보는 현실 긍정의 이론
2. 南塘 韓元震의 사상에서 보는 현실 긍정의 이론
3. 巍巖 李柬과 南塘 韓元震이 주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암 이간의 묘소와 신도비
외암 이간의 묘소는 외암마을의 서쪽 100여m떨어진 구릉에 서향으로 자리잡고있다. 외암 이간은 1727년 윤 3월 14일에 별세하였고 그해 5월에 온양군 유곡에 장례를 치렀다가, 1961년 3월에 현재의 위치로 이장하였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암과 남당의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의 의미 차이로부터 비롯된다. 이러한 논의가 있기 전, 최성중은 그의 어록에서 未發상태는 本然之性이고 已發상태는 氣質之性이라고 파악한 적이 있었다. 여기에 대하여 외암은 性이 이렇게 두 가지가 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시 말하면 기질지성이 理와 氣의 묘합 구조인 한, 본체상에서도 맑고 흐리고 착하고 악함이 없을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외암과 남당의 인물성 동이 논쟁의 초점은 본연지성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있었다. 외암은 이 본연지성을 이일지리(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