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있는 때에는 본인인 한정치산자에게 그 효력이 미친다.
(2)부정설
무능력자의 법정대리에 제126조의 표현대리를 인정하면 무능력자를 보호하려는 제도의 취지에 반한다고 한다. 따라서 법정대리인의 권한이 친족회의 동의를 요하는 경우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권을 갖는다고 볼 것은 아니다.(대판 2000. 12. 8, 99다37856)
(5) 사실혼 배우자에게도 일상가사대리권을 인정하면서 이를 기본대리권으로 하여 표현대리를 적용한다. (대판 1980. 12. 23, 80다2077)
3. 정당한 사유의 판단기준
처가 특별한 수권없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인에게 일정한 범위 내의 대리권은 존재하여야 한다.
ⅱ)대리인이 기본대리권의 범위를 넘는 대리행위를 할 것
ⅲ)기본대리권과 월권행위와의 동질성을 요하지는 않는다.
ⅳ)기본대리권이 진정한 대리권이 아닌 표현적 대리권(대리권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가 아니라 유권대리의 아종으로 보아야 한다고 한다.
(2) 무권대리 규정(제130 ~ 135조)의 적용여부
여러 설이 있으나 다수설은 제130 ~ 135조는 협의의 무권대리에 관한 규정이라는 전제에 서면서 그러나 표현대리도 협의의 무권대리로서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현대리인이 표시된 대리권의 범위를 유월하여 대리행위를 한 경우에는 제 126조의 월권대리가 성립한다는 것이 다수설·판례이다.
참고문헌
김기인, 한국관세법, 한국관세무역연구원, 2005.
박종수, 관세론, 법문사, 2006
이균, 관세론, 박영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08.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