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준시점도 처분시가 된다. Ⅰ. 들어가며
Ⅱ. 취소소송 및 무효등확인소송에 있어서의 위법성 판단의 기준시
Ⅲ. 부작위위법확인 소송에서의 위법판단의 기준시
Ⅳ. 사정판결의 필요성 및 위법성의 기준시기
Ⅴ. 관련문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한다는 의미는 아니고, 행정처분 당시 행정청이 알고 있었던 자료뿐만 아니라 사실심변론종결 당시까지 제출된 모든 자료를 종합하여 위법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9두 2970) Ⅰ. 취소소송과 무효확인소송의 경우
1. 학설의 입장
2. 판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법확인소송은 행정청이 아무런 처분을 하지 않은 것이 위법 하다는 것을 밝히는 것일 뿐, 특정의 처분을 할 의무가 있음을 심리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려워 절차적 심리설이 타당하다.
2. 위법판단의 기준시 : 부작위의 경우에는 행정청의 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위가 확장된다.
국민의 방어권 보장과 소송경제와의 조화를 고려할 때 處分時說의 입장이 타당하다.
3. 기속력
處分時說에 의할 때 판결의 취지를 행정청으로 하여금 존중하도록 하는 판결의 기속력의 기준시점도 처분시가 된다.
따라서 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적법하니 취소기각판결을 해야 하는지 이것이 바로 위법판단의 기준시 논쟁이다.
처분시설은 원래 위법성이라는 것은 그 위법한 행위의 발동 순간에 결정되는 것으로 후에 그 위법성이 치유되는 것은 아니라는 위법성의 본질론과 법원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