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구곡과 예종의 사상적 번민",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윤성현 (1994). "고려가요의 서정성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이동근 (1992). "<維鳩曲> 再考",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이임수 (1988). "고려가요연구",경북대 박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구곡>은 속칭 ‘비두로기’라 하여 『시용향악보』가 발견됨으로써 논의가 가능해진것이며, 그 첫 주자인 김동욱이 예종의 <벌곡조>와 관계 지었고 이후 이병기, 권영철, 박병채, 박노준의 논의를 거치면서 <벌곡조>=<유구곡>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9.0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문과 현대어풀이 작품감상]
10. 정과정[원문과 현대어풀이 작품감상]
11. 정석가[원문과 현대어풀이 작품감상]
12. 청산별곡[원문과 현대어풀이 작품감상]
13. 처용가[원문과 현대어풀이 작품감상]
14 유구곡[원문과 현대어풀이 작품감상]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듯도 하다. 이렇게 해석할 경우에 화자는, 정치에 신물이 난 사람이어서 더 이상 사람을 상대하기 싫은 사람이거나 관리에 수탈당하여 세상을 살기 싫은 백성이라 볼 수 있겠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Ⅱ. 본론
1. 해독
(1) 어구해석
(2) 가사해독
2. 작품과 관련된 논쟁들
(1) 왜 “유구”곡인가?
(2) 고려가사가 될 수 있는가?
(3) 예종창작설로 볼 것인가 민요로 볼 것인가?
(4) 작품내의 화자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