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형 부정문 중에는 의미가 특수화되어 관용적인 의미를 갖는 예들이 있는데 그런 경우 ‘되다’ 만이 예외적이고 나머지는 장형 부정문으로 대치되지 못한다.
18) {못된, 되지 못한} 녀석.
19) 참 {못난, *나지 못한} 녀석이군.
반대로 다음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형부정문’과 ‘확인의문문’의 차이점
① 같은 형식을 적용했을 때의 차이
② 특수한 환경에서의 문법성 차이
⑶ ‘-지’와 ‘아니’의 정체
① 종결어미의 ‘-지’
② 가부정(假否定)의 ‘아니’
2) 회의문
① 부정문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결합한다. 경동사 "하"가 부정요소와 결합하는 장형부정 구문에서는 부정요소의 자질이 상위동사의 자질로 작용하는 반면, 동사 반복 구문에서는 그렇지 못한다.
장형부정 구문과 단형부정 구문은 부정요소의 작용역이 서로 다르다. 장형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라. 그런 일을 당하다니 참 안 됐다/*되지 않았다.
3) ‘-지’와 어휘 선택 자질
- 단형 부정과 장형 부정이 같은 것이라고 할 수는 없음. 장형 부정에는 단형 부정에 없는 어미 ‘-지’가 있음
○ 가. 그가 손을 잡지 아니하였다.
나. 그가 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정요소와 경동사 "하"의 반복
부정요소와 경동사 "하"의 반복현상은 동사부가어 분석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8) 철수가 편지를 쓰지 않지 않았다.
동사부가어 분석은 장형부정 구문의 "하"를 동사로 본다. 따라서 위 예문에서 하위의 "하"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