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일부만 가입한 노동조합이 주도한 일부파업에서 근로제공을 거부당한 비조합원은 휴업수당청구권을 갖는다.
Ⅲ. 쟁의행위와 그밖의 근로조건
1. 직장복귀
가. 대체근로금지
- 근로계약정지설. 노조법43조
나. 근로관계의 계속
- 근로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쟁의 평화적 해결안을 제시하지 않고 단지 파업전략 차원에서 종료선언을 행한 것이라면 파업 종료 선언 후라도 직장폐쇄는 정당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I. 쟁의 행위와 근로계약관계
1. 쟁의행위 기간 중의 근로제공의무
쟁의행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효력을 가진다. 따라서 근로자는 쟁의행위기간 중에도 기업의 시설유지나 비밀·신용을 보호할 의무를 부담한다.
4. 업무상 재해 인정여부
쟁의행위 중 발생한 재해에 대한 업무상 재해 인정여부에 대하여 判例는 ‘사용자와 대립관계로 되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요건을 말한다.
* 판단기준 - 주체, 목적, 시기 및 절차, 수단과 방법
7) 정당성 없는 쟁의행위와 책임
* 손해배상 책임
* 형사책임
* 징계책임
8)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 근로자의 임금청구권
* 안전보호시설의 유지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위 중 발생한 재해에 대한 업무상 재해 인정 여부에 대하여 판례는 사용자와 대립관계로 되는 쟁의 단계에 들어간 이후의 노조활동 중에 생긴 재해 등은 이를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없다고 한다.
Ⅴ. 쟁의행위 종료 후의 근로관계
1. 권리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