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지행합일설, 치양지설을 주장하였으며, 특히 주자(1130-1200)의 선지후행설과 격물치지설에 반대하는 이론을 세웠다.
이는 곧 주자학을 신봉하던 조선조의 유학자들이 왕양명의 학문을 이단의 학설로 지목하는 한 이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예문서원, 1994
정동국 외, 공자와 양명학, 태학사, 1999 Ⅰ. 양명학의 개념
Ⅱ. 양명학의 역사
Ⅲ. 양명학의 지행합일설
Ⅳ. 양명학의 치양지설
Ⅴ. 양명학의 만물일체론
Ⅵ. 양명학의 비판
Ⅶ. 양명학과 창조정신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를 이룸으로써 사물은 바르게 드러난다는 것이다. 이는 주자가 \'격물치지\'의 격(格)을 지(至)로 해석해서 \'사물에 나아가 이치를 궁구한다\'는 즉물궁리(卽物窮理)로 이해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3)지행합일설(知行合一設)
왕수인은 앎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명한다.
③ 양지의 실천적 측면 - 지행합일과의 비교
왕양명의 사상은 지행합일(知行合一)설에서 말했던 것처럼 실천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따라서 그는 치양지설에 있어서도, \'양지에 의거해서 실행한다\'는 점을 더 강조했다. 왕양명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치양지설을 주장한 후부터 이보다 심에 중심이 옮겨졌다. 즉 심의 외화(外化)가 곧 자연적인 사물이라는 것으로 사물현상은 심의 현상물이라 했다.
2) 지행합일(知行合一)
아름다운 꽃을 보는 것은 지(知)에 속하고 아름다운 꽃을 좋아하는 것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