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다. 이에 불교는 매순간 끊임없이 선택하지 않으면 안 될 윤리적인 차원에서 살아가고 있는 개인과 사회의 윤리를 무너뜨리며 현실을 무시한다고 비판한다.
Ⅶ. 주자의 도가적 理(이)개념 비판
주자의 도가적 이(理)에 대한 비판의 핵심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자학)의 사상체계
사상체계: 이기론(理=태극. 道→원리, 법칙, 도덕률, 기에 질서를 주는 통제자로서 形而上
氣=음양으로 대체되는 현상, 이의 주재, 끊임없이 생멸하는 것, 形而下)
이러한 이기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신성을 설명하는 인성론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래야 한다.’[應當如此]는 생각이 행위에 대하여 일종의 규제작용을 하게 됨에 인하여 일종의 법칙성을 나타내는데 우리는 이에 근거하여 이것을 도덕률 혹은 ‘당연지리’(當然之理)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 어떤 이가 주자에게 ‘사물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교적 세계관 그 자체를 부정한 것은 전제개혁을 강하게 주장했던 신진사류가 등장하면서부터였고 그 중심인물이었던 鄭道傳에 와서 國家理念으로서의 性理學이 완비된다 하겠다. 이색의 문하에서 같이 성리학을 공부한 정몽주이숭인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가 의착할 수 없는 것이다. 一物이 아닌 까닭에 一而二요 二物이 아닌 까닭에 二而一이다”라고 하여 理氣不相雜의 측면보다 不相離의 측면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율곡에 있어서의 이는 곧 태극으로 모든 존재의 근원이 되지만 철저히 형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