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동범의 방조범이 되고, 현장에 없었더라도 기능적 행위지배가 인정될 경우 합동범의 공동정범으로서의 죄책을 부담해야 한다.
4. 사안의 해결
사안에서 을, 병, 정은 범행현장에서의 장소적 협동관계가 인정되므로 어느 학설에 의하든 합동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동범의 공동정범은 형법의 합동범 규정 체계상 해석이 힘든 것으로 이를 억지로 인정하는 것은 형법의 기본 기능 중에 하나인 보장적 기능에도 반할 위험이 있다.
그리고 앞의 합동범의 본질에서 현장설을 타당하게 본 것에 비추어 논리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100원
- 등록일 2007.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
① 공모공동정범설합동범에는 공동정범과 공모공동정범이 포함된다는 견해이다.
② 가중적 공동정범설합동범은 그 본질에 있어서는 공동정범이지만 집단범죄에 대한 대책상 특별히 형을 가중한 것이라고 해석하는 견해이다.
③ 현장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장에 있지 않은 범인도 합동범의 공동정범이 될 수 있다고 한 점에서 현장설을 포기하였다고 할 수 있지만, 다른 한 편으로 범인 중 2인 이상이 반드시 시간적, 장소적 협동관계가 있어야 한다고 한 점에서 종래의 태도를 완전히 포기한 것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
①공모공동정범설
합동범에는 공동정범과 공모공동정범이 포함된다는 견해이다.
②가중적 공동정범설
합동범은 그 본질에 있어서는 공동정범이지만 집단범죄에 대한 대책상 특별히 형을 가중한 것이라고 해석하는 견해이다.
③현장설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9.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