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고처분의 정당성이 인정될 수 있다는 입장일 것이다.
결국, 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은 일반조항이므로 구체적 해고사유의 명시는 취업규칙 및 단체협약의 과제로서 유죄판결로 인한 해고의 정당성 여부는 각 기업의 현실적 상황과 근로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분이 행해져야 징계의 정당성을 가질 수 있다.
< 參 考 文 獻 >
김수복, 근로기준법, (주)중앙경제, 2008.
김유성, 노동법Ⅰ, 법문사, 2005.
김형배, 노동법, 박영사, 2007.
박경서, 기업내 징계의 이해와 실무, (주)중앙경제, 2003
이상윤, 노동법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