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응능력 측정]
1. 실험 목적
2. 관련 이론
(1) 피츠의 법칙
(2) 체계의 설계 (System design)
(3) 시배분 (Time sharing)
(4) 지식과 기술의 습득 (Knowledge and skill acquisition)
(5) 양립성
(6) 회귀 분석 (Regression analysis)
3. 의문점 및 생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물체 조작에는 두 손의 협응능력이 요구된다. 만약 영아가 앞에 놓인 사과를 잡으려 한다면 두 손의 움직임이 시간적(timing)으로 일치해야 한다. 이렇게 신체의 양쪽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양측성 운동협응이라 한다(Connolly & Forssberg, 1997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II. 소근육 운동 및 협응능력의 발달
1. 소근육 운동발달
2. 시각-운동협응
3. 양측성 운동협응
IV. 운동발달의 이론적 가설
1. 성숙적 관점
2. 학습론적 관점
3. 생태학적 관점
1) 역동적 체제이론
2) 지각-행동이론
*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9.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필요
Ⅲ. 결론
1. 감각통합치료는 자세조절, 운동계획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측협응능력은 효과 알 수 없었음 → 양측협응능력 측정을 위해 더욱 과학적으로 측정가능하면서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정해야 할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능력·협응능력·균형유지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6. 참고문헌
- 강위영·송영혜·변찬석(1992). 놀이치료. 서울:특수교육
- 길민영(2005). MGL 훈련이 발달장애아의 대·소근육 운동 능력 및 사회적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