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형사소송의 기본구조
Ⅰ. 규문주의와 탄핵주의
1.규문주의
2.탄핵주의
Ⅱ. 직권주의와 당사자주의
1.직권주의
2.당사자주의
Ⅲ. 현행법상 형사소송의 기본구조
1.현행법규정과 소송구조
2.소송구조에 대한 견해의 대립
(1)학설
(2)판례 - 당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5.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1항에 따라 공판준비나 공판기일에서 원진술자의 진술에 의하여 그 녹음테이프에 녹음된 각자의 진술내용이 자신이 진술한 대로 녹음된 것이라는 점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고 사인이 피고인 아닌 사람과의 대화내용을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배제] 적법한 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증거로 할 수 없다.
- 위법한 절차에 의하여 수집된 증거, 즉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을 부정하는 증거법칙을 말한다.
[[판례]]대판 2007, 11, 15 2007도 3061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정한 절차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례월보 187호, 1986/4.
---------, “함정수사와 법원의 대응”, 판례월보 211호, 1988/4.
홍영기, “형사소송법, 그 독자적인 법 목적에 대한 이해”, 저스티스 통권 제100호, 2007/10.
대법원 1963.9.12. 선고 63도190 판결
대법원 2005.10.28. 선고 2005도1247 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682 판결에서는 현행범체포에 대하여 체포의 필요성을 요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형사소송법 제212조에서는 이를 명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법원은 일관되게 이를 요건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 역시 현행범체포의 취지를 고려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8,000원
- 등록일 2022.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원이 파기이유로 설치한 판단에 반하는 판단을 원심법원이 행한 경우에 상고심은 법령위반을 이유로 원심판결을 파기하여야 한다. 대판 1994.12.22, 93도2023
참고문헌
1. 신양균, 형사소송법(제2판), 법문사, 2004.
2. 신동운, 간추린 형사소송법(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사소송법
1. 형사소송법의 개념과 용어의 문제
1) 개념
2) 용어의 문제
2. 형사소송법의 성격
나. 수사
1. 수사의 의의
2. 수사의 객체
다. 수사개시
라. 고소
1. 고소의 의의
2. 고소권자
3. 고소의 방법
4. 고소의 취소, 포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원에 하여야 하는가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 2] 甲이 乙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면서, 청구원인에 민법 제750조의 불법행위를 기재하였다가, 소송계속 중 민법 제390조의 채무불이행으로 변경하려고 한다. 소송물에 관한 학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1.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사소송의 이념과 구조
제1절 형사소송의 지도이념
< 소송주체와 소송행위 >
제 1 장 소송의 주체
제1절 법원
제2절 검사
제3절 피고인
제4절 변호인
제 2 장 소송행위와 소송조건
제1절 소송행위
< 수사와 공조 >
제 1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3.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원판례는 법률의 착오에 대해 고의설을 따른 경우가 적지 않으나 이는 현행 형법상의 근거도 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형사정책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논리의 일관성도 무시되고 있다. 즉 고의설을 따른다면 고의가 성립하기 위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