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종사찰에서 법상종의 主佛인 毘盧舍那佛을 봉안하고 신앙한 것은 화엄종과의 교류에서 비롯된 신라 선종의 특성이라 하겠다.
華嚴宗은 禪宗에 자극되어 선과 관계가 깊은 澄觀系 화엄학이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선종에 대항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1.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류사, 사계절출판사, 2001.
정수일, 실크로드 문명 기행, 한겨레출판, 2006.
존 킹 페어뱅크, 동양문화사, 을유문화사, 1992.
패트리샤 버클리 에브리,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중국사, 시공사, 2001. 1. 들어가기
2. 서역과 동아시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엄종, 정토종, 선종, 밀종
(1)천태종 : 천태대사 지의, 법화경 중심 불교 통합한 종합불교, 좌선과 정혜쌍수, 법화종, 남방
(2)화엄종 : 북방, 화엄경, 모든 현상의 근본은 진심
(3)선종과 정토종 : 가장 중국적 불교로 발전, 간결한 종교성, 하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류의 감소와 금교정책으로 인해 당대에 이름을 떨치던 종교들은 하나둘씩 쇠퇴하여 결과적으로 외래종교 중 불교를 제외하고 대중사이에서 뿌리를 깊게 내린 종교는 없었다.
참고문헌
남경태, 『남경태가 읽어주는 종횡무진 동양사』, 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6.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엄종(海東華嚴宗)의 창시자 가 되었다. 그 밖에 유식론(唯識論)에 원측(圓測)·경홍(憬興)·도증(道證)·대현( 大賢), 화엄종에 승전(勝詮), 율종에 진표(眞表) 등이 나타나 불교의 전성기를 이루 었다. 신라 말기에는 선종(禪宗)이 성행하였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